1926년 1월 19일
공산주의를 찬양하는 저 사람들은 마음속에 진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기 힘들다. 레닌과 트로츠키는 신념을 바꾸지 않고 많은 고통을 견뎌냈다. 도덕성이 훌륭한 사람들이다. 하지만 중국 공산주의자들의 도덕성은 도대체 어떤지 모르겠다. - P192

에밀리는 중국의 교육이 변화해야 할 시기가 한참 지났다고 믿었다. 많은 중국인에게 가난에서 탈출하고자 발버둥 치던 때는 지났지만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고 아이들을 다그치는 걸 보면 여전히 어딘가 절박한 데가 있었다. - P2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 정부는 장쩌민이 985 프로젝트를 출범시킨 해인 1998년에 만리방화벽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추진했다는 사실은 정신분열적으로 느껴진다. 세계적 수준의 대학을 만들려 한다면서 인터넷을 제한하다니. - P110

한편으로는 교육 및 경제적 기회가 늘어나는데 다른 한편으로는 정치적 공간이 줄어드는 이 체제의 정신분열적 특징은 본인들 스스로가 모순의 본보기인 젊은이들을 만들어냈다. - P1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육받은 중년의 중국인에게 선전 문구가 쓰인 시대를 알아보는 것은 일종의 정치 고고학이다. 문자도 발굴 대상이 될 수 있다. 때로는 글자 아래에 정반대의 뜻이 숨어 있기도 하다. 현수막에 "위생"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였다는 사실은 당시 푸링이 비위생적이었음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푸링을 "국가"라고 반복해서 언급한 것을 보면 푸링의 지도자들이 변방으로서의 위치를 의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대학생들은 시진핑이 평생 국가주석을 할지도 모르는 체제에서 성인이 된 첫 번째 세대였다. - P20

중국에는 여러 종류의 거절이 존재한다. 가장 단순한 것은 금전적인 거절이다. 비즈니스 세계의 거절은 직설적이고 단호하다. 학교의 거절도 직설적일 수 있다. 시험 위주의 중국 학원 문화에서는 특히 그렇다. 하지만 만약 거절의 이유가 정치적이거나 혹은 외국인과 관련되어 있다면 아무 응답이 없을 수도 있다. 아무도 무슨 결정이 있었는지 말하지 않고 아무도 설명해주지 않는다. 소통의 부재는 사실상 문제도 해결책도 존재하지 않음을 뜻한다. 마치 애초부터 신청서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 P31

거리감과 친밀감의 이러한 조합은 마오쩌둥과 덩샤오핑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푸링 주민들은 늘 이 두 인물에 대해 이야기했고, 지난주에 했던 대화를 떠올리듯 무심코 이들의 말을 인용했다. 외국인인 나로서는 새로운 땅에 살면서 현지인이 숭배하는 신들을 알게 되는 듯한 기분이었다.
그러나 시진핑은 새로운 유형의 신을 대표하는 것처럼 보였다. 임기 초기에 부패에 대한 엄격한 단속을 시작했고, 내 예전 학생들을 비롯해 많은 이가 여기에 호응했다.(중략)
시진핑을 찬양하면서도 시진핑 개인의 특성은 언급하지 않는다. 예전 같은 친밀감이 사라진 느낌이었다. 대신 이제는 다들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이것이 성격과 외모가 매력의 중심이었던 마오쩌둥, 덩샤오핑과 시진핑을 구별 짓는 점 중 하나였다. - P33

교사로서 새로 맞이한 삶에서 도시는 더 커졌고 캠퍼스도 커졌다. 심지어 학생들도 커졌다. 중국의 젊은이들은 이제 부모 세대보다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여섯 배나 높았다. 대학은 상상할 수도 없던 규모로 확장 또는 재건되었고 1인당 GDP는 개혁개방 초기에 비해 65배나 증가했다. 10억 농민의 4분의 1 이상이 도시민으로 탈바꿈했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마르크스주의대학의 옆 건물에서 강의를 했고 대학은 여전히 구식 공산주의 집회를 열었다. 기념일의 숫자가 점점 더 커진다는 사실은 그저 얼마나 많은 것이 변함없이 그대로인가를 분명히 보여줄 뿐이었다. (중략) 나처럼 오랜만에 돌아온 교사에게는 수수께끼가 아닐 수 없었다. 어떻게 한 나라가 이토록 커다란 사회와 경제와 교육의 변화를 겪고도 정치는 정체되거나 퇴보할 수 있을까? - P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바 출정이 진짜 목표로 삼은 관객은 꼭 타이완인들이 아닐 수도 있다. 오히려 진정한 관객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네티즌들과 참가자 본인들이었다. 다시 말해, 디바 출정의 주요 동기는 타이완해협 반대편의 웹사이트를 도배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랑, 자기 미화, 셀프 퍼포먼스를 전시하는 것이었다. - P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