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으로서, 특히 일본 외교관으로서는 매우 이상하게도 도고는 퉁명스러운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일본인은 속내를 드러내지 않기로 유명하다. 얇은 종이로 벽을 만들어 방을 구분하는 사회에서 그들은 무례한 말을 하지 않으려고 조심한다. 도고 역시 에둘러 말하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거칠다.(중략) 그러나 도고는 매우 성공적인 외교관이었다. 그는 아마도 일본의 전형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마음에 있는 말을 그대로 하고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솔직하게 밝힌다) 일본의 숙적인 러시아와 협정을 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 P100
도고는 비판을 받았어도 일본에 승산이 없다는 점을 솔직히 인정한 현실주의자였다. 그는 전쟁을 시작한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았을 때, 일본의 완고한 내각총리대신 도조 히데키 장군과 사이가 이미 틀어졌다. 자리에서 밀려난 그는 도쿄에서 멀리 떨어진 산악지대 나가노에 있는 고향집으로 가서 패망한 나라들을 공부했다. 러시아와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뒤 내부 혼란으로 무너진 과정을 깊이 연구했다. - P101
인종주의적 적의와 자부심은 언제나 격정을 불러일으킨다. 1905년 러일전쟁으로 유럽 강국에 패배를 안긴 최초의 아시아 국가가 된 근대 일본은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 서구 국가들로부터 동등한 나라로 대우받기를 원하고 기대했다. 백인 국가들의 지속적인 인종주의와 멸시로 적개심에 불탄 일본은 백인 패권에 맞선 인종주의적 복수자가 되었다(혹은 그런 태도를 취했다). 일본은 백인을 내쫓아서 아시아인을 위해서 아시아를 통합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다른 민족보다 야마토 민족이 우월하다는 인식을 가진 일본인들은 유럽 식민주의자들보다 훨씬 더 잔인한 행태를 보였다. 차고 넘치는 잔학행위(마을을 불태우고 여인을 강간했다)는 열정으로서 용서받았다. 이른바 대동아공영권은 출범 후 5년이 지나자 시체 안치소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할 지경이 된다. - P109
히로히토는 자기 성찰형 인간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절반은 신이자 동시에 의존적인 존재라는 자신의 독특한 지위를 모르지는 않는다. 그는 스스로를 "새장 속에 갇힌 새"라고 말했다. 인정하고 싶지 않았지만 군대가 자신의 이름으로 미친 짓(국가가 스스로를 제물로 바치는 일)을 하려고 한다는 사실을, 자신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서서히 깨닫는다. 히로히토의 이름이 신화에 둘러싸여 있어도(그리고 쇼와 천황이 결코 "밝은 평화"의 시대가 아닌 때에 나라를 이끌고 있다는 사실이 모순적이지만), 그는 자신의 왕좌가 언제나 검을 쥔 남자들의 용인으로유지되었음을 알고 있다. - P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