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이 성격을 결정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는 곳은 전 세계에서 한국과 일본, 대만 정도다. 일본과 우리는 이력서에도 혈액형 기재란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외국은 본인의 혈액형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 수혈할 때 문제가 되지 않을까 반문하겠지만, 응급 상황 시 혈액형을 바로 체크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한다. 우리나라와 대만이 갖고있는 혈액형에 대한 고정관념은 일본이 ‘원조‘다. - P227

최신 혈액형 연구는 혈액형에 대한 고정관념이 일상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세밀하게 분석한다. 그리고 일본 사회에 혈액형 성격론이 자리 잡은 이유로 ‘믿는 사람이 믿지 않는 사람보다 이득이 더 많기 때문‘임을 보여 준다. 혈액형은 재미 삼아 이야기하거나 대화의 실마리를 풀어 나가기에 좋은 소재라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인들은 혈액형 성격론을 적당히 믿는 사람들에 대해 ‘똑똑하지는 않지만 인간성은 좋다‘ 정도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액형 성격론을 반대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능력은 있지만 거리감이 있다‘고 느꼈다. 혈액형에 대해 가볍게 농담을 나누는데 정색하며 분위기를 깨는 사람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 P234

일본 학자들은 일본인이 추구하는 행복은 ‘다다익선‘식이 아니라 ‘균형을 지향하는‘ 행복이라고 설명한다. 일본인은 부족함을 알면서도 일정 정도가 충족되면 행복을 느낀다고 주장한다. 100점 만점으로 치면 가장 이상적인 행복 점수는 70점 정도라는 것이다.
일본인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균형적인 행복‘이란 무엇일까? 긍정과 부정의 균형이다. 즉 인생에서 좋은 일만 있을 수 없기에, 긍정적인 일과 부정적인 일이 조화를 이룰 때 행복하다는 생각이다. - P240

<한국일보>의 조사에서 한일 통틀어 일본의 20대는 가장 행복하지 않은 세대였다. 행복도가 10점 만점에 5.2점으로 일본의 전 세대중 최하위였다. 한국 20대의 6.3 점보다도 현저히 낮았다. 전문가들은 장기 불황의 여파를 가장 먼저 꼽는다.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을 잃고, 달관 세대가 됐다고 우려한다. - P2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