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미는 한국인은 사과할 때 일본인보다 말이 50% 정도 더 많으며, 이유를 많이 설명한다고 지적했다.
정현아의 연구에서도 한국인은 사과할 때 일본인보다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거나 변명하는 경향이 강했다.
학계에선 한국인의 사과 유형을 ‘문제 해결 중시형‘, 일본인을 ‘인간관계 중시형‘으로 분류한다. - P173

언어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면 한국인과 일본인의 거절 스타일은 확연히 다르다. 한국인은 거절할 때 솔직하게 이유를 설명하는 데 비해, 일본인은 애매하게 말하고 일단 다음으로 미루는 경우가 많았다. 한 한일 연구에서 솔직하게 거절하는 비율은 일본이 25%로, 한국 50%의 절반에 그쳤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다음 기회‘로 일단 미루겠다는 일본인이 85%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 P175

이데 리사코 교수는 일본인은 과거의 일을 계속 환기시키며 반복적으로 인사한다면서 일본의 유형을 ‘반복 확인형‘으로, 한 번만 말하는 한국을 ‘1회 완결형‘으로 구분했다. 이 사실을 염두에 두는 것이무척 중요하다. 일본인과의 소통에서 큰 오해를 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은 감사할 일이건 사과할 일이건 과거에 대해 한 번만 언급하면 충분하다고 보지만, 일본인은 그럴 경우 무척 섭섭해한다. - P182

한국어와 일본어는 흔히 ‘고맥락 언어‘로 분류된다. 맥락에 따라 의미의 변화가 심해, 겉으로 드러난 뜻보다 숨은 뜻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은 언어라는 뜻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로 범위를 좁히면 일본어가 훨씬 더 맥락에 의존한다. 한국인은 솔직하게, 일본어는 에둘러서 표현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그래서 한국어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뜻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일본어는 듣는 사람이 잘 들어야 한다. 우회적으로 말한 사람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