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세대는 전쟁을 일으킨 부모 밑에서 자라면서 그들의 문화를 섭취해왔음을 부정할 수 없다. 개인으로서 져야 할 전쟁 책임은 물론 없지만, 침략전쟁에 빠져든 사회나 문화, 그리고 국가의 책임까지 부정할 수는 없다. - P395

패전 이후 일본 사회는 전쟁에서 무엇을 했는지, 전쟁에서 얼마나 정신적으로 왜곡되었는지 되돌아보는 일 없이 약자를 배제하면서 경제활동에 매진해왔다. 과거의 짐이라는 유산은 회사 인간, 장·노년층에서 자주 보게 되는 억울증, 아이들이 자폐화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 P422

강인함이 필요한가 그렇지 않은가를 물으면, 답은 강인한 쪽으로 쏠리기 마련이다. 진솔하고 강건하여 자기 의지를 관철하는 인간이 훌륭한 인간이라는 얘기다. 이것은 과거 일본 군인의 정신주의와 같다. 그리고 강인한 의지에 평화주의를 접목해 놓으면, 바람직한 삶이 돼버린다.
과연 강함이 그렇게 필요한 것일까?
나는 강한 인간이기 전에 느끼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신은 경직돼버린다.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일어났는지, 늘 구체적으로 알려고 할 것. 충분히 알고 나서 당사자에게 감정이입하여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것이야말로 소중한 것이 아닐까? - P440

집착 기질 및 멜랑콜리 친화형 성격은 사회과학의 관점을 결여한 정신과 의사의 연구에서는 어디까지나 선천성 기질인 것처럼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분명히 이러한 기질은 집단에 대한 순응을 강요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기질이다. 즉 사회의 주형에 부어 만들어낸 성격이다. 그것은 권위와 질서의 방향으로 경직돼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감정 교류를 중시하지 않는다. - P462

전시에서부터 전후로 이어진 집단주의 문화 속에서 ‘강한 정신‘이라는 물음은 양방향으로 기능했다. 즉, 그것은 다른 사람에 대한 폭력이 될 수도, 자신의 정신에 대한 폭력이 될 수도 있었다. - P463

인간을 ‘물건‘ 취급하는 사고방식은 세상의 풍조에 몸을 맡긴 채 집단 속에 살면서 자기 생각을 갖지 못하고,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의식이 희박한 사회 속에서 빚어져 가는 게 아닐까요? 유아사 의사가 보낸 전쟁의 나날과, 지금의 일본은 이런 점에서 그다지 다르지 않은 게 아닐까요? 그리고 현재 일본이 안고 있는 수많은 사회문제도 여기로 귀결하는 것 같습니다. - P4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