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현 공산주의 정권은 일절 아무런 관계도 없음에도 ‘중국‘이라는 카테고리를 남용해서 일체성을 위조하여 강조한다. 그리고 춘추시대의 공자와 21세기의 시진핑을 어떠한 형태로든 연결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적으로 기만이다.
도덕을 꺼내서 자기의 권위를 부여하려고 꾀할 때 항상 니힐리즘은 거기에 잉태된다. 전쟁 전의 일본이 ‘도의의 대일본제국‘을소리 높여 외칠 때 거기에는 강렬한 니힐리즘의 느낌이 감돌았다.
도덕성을 강조할 때 일상과 도덕에 괴리가 발생하며 그 틈으로 니힐리즘이 침투한다. 사람은 자기 국가나 공동체의 도덕성을 믿고 싶지만, 믿기 위한 증거는 전무하고 대신 고대의 ‘성인‘의 말만있다. 이것을 믿는다고 해도 현대 중국의 지식층에게는 무리이다. 그러나 믿는 시늉은 해야 한다. 니힐리즘은 진행되어 흰개미처럼 국가의 가람(伽藍)을 좀먹어 간다. - P107

한국의 니힐리즘은 기본적으로 자기 역사를 직시할 수 없는 부분에 발생한다. 이것은 중국, 북한, 일본에도 공통된 사항이지만 한국의 경우, 역사 인식 그 자체가 정권의 정통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여기에 허위가 활개를 친다.
주자학적 전통과 대일본제국의 ‘도의국가‘라는 컨셉의 영향을 받아 한국은 자신을 도덕적인 국가, 정의로운 국가로 규정하고 싶어 한다. 이 도덕이라거나 정의 같은 개념이 위험한 것이지만, 한국인은 그 위험성을 그다지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일상생활과 다른 도덕이니 정의니 하는 개념이 일상을 지배했기 때문에 국민의 삶은 소외된다. 이념이나 정책 때문에 한국인의 인생은 헛되다.
국민의 삶을 저해하는 다른 요인은 경제발전 지상주의라는 병폐이다. 한국 국민은 삶 자체를 살기보다 반대로 정의니 경제니 하는 개념이나 이념에 따라 사는 역전현상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 나라의 생명은 정의와 경제이며 국민은 그 생명을 위한 수단이라는 역전현상이다. - P109

"일본은 제대로 된 일류 국가이다"라는 긍지를 가지면 좋지만 이런 인식 때문에 국가에 관한 모든 사고가 정지하면 안 된다.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보수도 좌파도 이러한 "일본은 제대로 된 국가"라는 환상이 너무 강하다.
사실 일본에 사는 사람 누구나 자국의 수준이 낮다고 느끼곤 있으나 큰 소리로 말할 수 없었는데, 코로나라는 상황 속에서 허둥지둥 실효성 낮은 대책들만 내놓으면서 모든 것이 명백해졌다.
일본인은 일본 사회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 일본이라는 국가가 정상임을 증명한다는 사고방식에 너무 익숙해졌다. 그런 사고방식에 따르면 불안정한 움직임 자체는 국가의 흠으로 인식된다. 물론 법과 사회의 안정성은 중요하다. 한국처럼 불안정한 사회에서 살게 되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런데 예를 들어 자기들이 만들지도 않은 헌법을 절대로 건드리면 안 존재로 간주하여 아무것도 손대지 않아야 ‘정상국가‘라고 생각하는 수구지상주의(좌파와 리버럴)가 일본 사회에서 너무 큰 힘을 갖고 있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