넵스태드는 기후변화정부간협의체가 최근 발표한 아마존에 대한 보고서의 주저자로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 나는 그에게 아마존이 지구 전체 산소의 주요 공급원이라는 말이 사실이냐고 물었다. "헛소리예요." 넵스태드가 말했다. "그 말에는 과학적 근거가 없어요. 아마존이 생산하는 산소가 엄청나게 많은 건 맞지만 호흡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빨아들이니까 결국 마찬가지입니다." 그 주제에 대해 연구한 옥스퍼드대학교 생태학자들에 따르면, 아마존의 식물들은 스스로 생산해 내는 산소의 60퍼센트가량을 호흡 과정에서 소비한다. 나머지 40퍼센트는 열대우림의 바이오매스를 분해하는 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식물만이 아닌) 아마존 ‘생태계‘ 전체를 놓고 볼 때 아마존이 세계 산소에 기여하는 양은 사실상 제로다." - P87
셀레브리티들이 소셜 미디어에 올렸던 사진들은 어떨까. 그건 실제로 아마존 열대우림에 불이 난 모습이 아니었다. 그중 상당수는 심지어 아마존을 찍은 것조차 아니었다. 호날두가 트위터에 올린 사진은 아마존에서 한참 떨어진 브라질 남부 어딘가에서 찍은 것이며, 촬영 날짜 역시 2019년이 아닌 2013년이었다. 마돈나가 공유한 사진은 무려 30년도 더 된 옛날 사진이었다. 이런 사정은 2019년 여름 아마존 화재를 둘러싼 언론 보도 전체에 해당하는 이야기다. 사실 당시 언론 보도 내용은 거의 대부분 틀렸거나 진실을 상당히 호도하고 있었다. - P88
탄소 배출 증가와 기후 변화가 전혀 위험하지 않은 일이라는 말이 아니다. 탄소 배출과 기후 변화는 위험하다. 하지만 우리는 기후 변화가 불러을 모든 영향이 자연환경과 인간 사회에 나쁜 방향으로만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P93
그럼 우리가 진정으로 원시림을 지키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엇보다 우리는 환경 식민주의를 물리쳐야 한다. 또한 오래된 원시림을 가진 국가의 경제 발전을 지지해야 한다. - P94
인간은 도시를 건설해 살면서 더 많은 부를 쌓기 시작한 다음에야 자연을 아끼고 배려하고 돌보아야 할 무언가로 여기기 시작했다. 유럽인은 19세기만 해도 아마존을 위험과 혼란이 가득한 "정글"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이 되자 같은 곳을 조화롭고 매혹적인 "열대우림"으로 여기게 되었다. - P102
그린피스의 운동은 언론인, 정책 결정자, 대중이 세라두 사바나와 아마존 열대우림을 혼동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라두의 콩 농사 확대와 아마존 열대우림의 벌목을 동일한 것으로 믿게 되었다. 하지만 세라두의 삼림 파괴는 경제와 생태 면에서 볼 때 아마존 삼림 파괴보다 정당하다고 볼 여지가 크다. 세라두는 열대우림보다 생물다양성이 그리 높지 않을 뿐 아니라 토양 역시 콩 농사에 훨씬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린피스와 언론은 두 지역을 혼동하면서 문제의 심각성을 부풀리고 있다. 세라두와 아마존이 생태와 경제 측면에서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는 잘못된 인상을 심어 주고 있는 것이다. - P104
브라질은 세계은행이 삭감한 농업 연구 예산을 자체 재원으로 조달했다. 그랬더니 그린피스가 끼어들어 유럽 식품 회사들에 압력을 넣었다. 브라질산 콩을 구매하지 말라고 말이다. "이 터무니없는 확신, 이 오만함을 좀 보세요." 넵스태드가 말했다. "농부 처지에서는 눈곱만큼도 생각하지 않고 규제 위에 또 규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농사와 목축을 막는 이유 중 대부분은 이념적인 것이라고 넵스태드는 지적했다. "이건 정말 반개발주의, 그러니까 반자본주의예요. 농업 비즈니스를 증오하는 마음으로 가득 차 있죠. 최소한 브라질 농업만큼은 증오하는 게 확실합니다. 같은 기준을 프랑스나 독일에 적용하고 있지는 않으니까요." - P105
원시림을 지키기 위해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정책은 농부들을 특정 지역으로 몰아서 집중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비교적 온전히 야생 상태로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며 원시림을 지킬 수 있다. 그린피스와 NGO들의 전략은 반대 결과를 낳았다. 소유 토지 중 엄청난 면적을 숲으로 남겨 둬야 한다고 하자 땅 주인들은 최대한 토지 면적을 넓히려고숲 이곳저곳을 닥치는 대로 걷어 내며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 넵스태드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새로운 삼림법이 열대우림을 파편화했다고 생각합니다." - P107
"부자 나라들은 아주 고상하고 그럴싸한 조약을 들이밀며 아마존 삼림 파괴를 막자고 웅변을 늘어놓는다. 하지만 그들은 이미 자기네 나라에서는 모든 숲을 몽땅 파괴하지 않았던가." 룰라 대통령의 2007년 연설 중 일부다. - P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