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갈대 > 진화의 핵심 = 네트워크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이 책을 처음 접하게 된 건 내가 가끔 들르는 어떤 사이트 주인장께서 2003년에 읽은 좋은 책 5권 중 한 권으로 꼽으셨기 때문이다. 믿을 만한 사람이 먼저 읽고 추천하는 책들은 대개가 만족스럽기 마련, 서점에 들렀다가 눈에 띄어 냉큼 샀다. 마지막 장을 넘기고 리뷰를 쓰기 위해 모니터와 마주한 지금, 내가 이 책에 지고 있는 이 엄청난 빚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다. 만육천 원이라는 가격으로는 도저히 가늠할 수 없는 이 책의 가치를 말이다. 다행히 뒷표지에 리처드 메츠거라는 사람이 내가 하고 싶은 말을 대신 해주고 있다. "하워드 블룸은 다윈, 프로이트,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몇 안 되는 선구적 학자들 중 한 명이다.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누구나 그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최근까지 우리 인간은 세상을 나누면 나눌수록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해왔다. 어떤 대상을 더 작은 부분으로 계속 쪼개는 '환원주의'가 모든 분야의 학문에서 주된 연구방법이었다. 물리학자들은 원자를 핵과 전자로 나눴고, 핵을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나눴으며 이들을 다시 더 작은 입자들로 나눴다. 가장 작은 궁극의 입자를 밝혀낸다면 우주 전체를 움직이는 절대법칙을 알 수 있을 거라 믿었다. 유전학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들은 각각의 유전자를 알면 유전자들의 집합인 개체를, 더 나아가 개체들의 집합인 사회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굳게 믿었다. 심지어 리처드 도킨스 같은 신다윈주의 학자는 근본적인 개체는 우리 각자의 내부에서 우리를 조종하는 유전자이며, 이 유전자는 극도로 이기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로는 전체를 이해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잘 알다시피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기 때문이다.

양자역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독일의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어떤 사실을 알고는 깜짝 놀랐다. 그때까지 사람들은 흔히 각 부분들이 모여 전체의 특징을 결정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하이젠베르크는 "전체가 부분의 특징을 결정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사실에 너무 놀랐던 나머지 그는 자신의 자서전 제목을 <부분과 전체>로 정했다(우리나라에서도 같은 제목으로 출판되고 있다). 명백히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며 전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들에 집착하기보다는 부분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야 했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엄청난 충격을 던져 주었으며 21세기의 화두 '네크워크' 이론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현재 대세를 이루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의 저자 리차드 도킨스를 비롯한 신다윈주의자들은 유전자 하나하나에 집착한다. 그들은 유전자 A가 행동 A를 이끌어내고 유전자 B가 개체 B의 어떤 특징의 원인이며 유전자 C 때문에 집단이 어떤 경향을 띤다는 식의 설명을 좋아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어쩔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형질 발현에 참여하는 유전자는 딱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표면적으로 나타난 형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전자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알아야만 한다. 설사 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형질을 나타낸다 하더라도 그 형질이 드러나기 전까지는 엄청나게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어떻게 유전자 A가 형질 B의 원인이라고 단언할 수 있단 말인가? 어떻게 부분으로 전체를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저자는 유전자들, 개체들, 집단들 간의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춰 진화를 다시 해석하고 있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진화의 핵심은 "협동과 관계"이지 "유전자의 이기성"이 아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저자는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시작하고 있다. 창조의 시작은 사회성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중성자, 양성자, 전자 모두는 본능적으로 결합을 원한다. 이들이 모여 원자가 되고 원자들이 모여 분자가 되며 이런 식으로 계속 결합하여 소행성, 행성, 태양계, 은하계, 다은하계 행렬이라는 거대한 격자들까지 이루어졌다. 생명체 역시 마찬가지이다. 최초의 미생물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의 화석은 이들이 서로 돕는 세포 집단들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은 분업을 통해 혹독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번성하고 있는 박테리아 역시 네트워크의 달인이다. 이들은 고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를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습득하게 되었다. 하지만 역시 저자가 가장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는 대상은 인간이다. 저자는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제시된 집단 정신(GLOBAL BRAIN)이라는 개념이 실은 아주 오래 전부터 형성되어 왔다는 것을 입증한다. 또 모방과 다양성이 집단내에서 뿐만 아니라 집단 간 토너먼트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렇듯 저자는 놀라운 통찰력으로 여러 현상들의 원인과 결과를 정확히 짚어내고 있으며 다루는 내용 또한 우주의 탄생에서부터 미래까지, 미생물에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방대하다.

무조건 읽으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 읽는 내내 벼락을 맞는 듯한 충격을 느꼈다, 이 책을 읽은 후에 나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읽기 전보다 무척 깊고 넓어졌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선구적인 저작이고 머지 않아 고전이 될 것이다. 번역도 매끈하고(이렇게 번역이 잘 된 과학책은 정말 드물다) 각주도 친절하게 달려 있다. 저자의 정교하고 논리적인 글이 읽는 재미를 더한다(문학작품을 읽는 기분이랄까). 내용도 재미있고 그다지 어렵지 않다. 도대체 어떻게 더 칭찬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냥 읽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