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이지유신의 대해부
홍윤기 지음 / 인북스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현대 우리나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3나라를 뽑으라면 중국, 일본, 미국일 것이다. 세계사를 배우면 중국과 미국의 경우 건국에서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알게 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고등학교 세계사 책을 보면 일본의 경우 내용이 인도나 이집트보다도 적게 다루어져 있고 그 깊이도 빈약하다. 서가에 가도 일본역사부분을 가보면 고대역사가 한국에서 기원했다는 내용의 역사서나 섹스 등의 이상한 모습을 단편적 소개한 서적정도밖에 없다. 비교적 현재의 우리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자료도 비교적 풍부한 근현대사부분에 대해 다룬 책은 이 책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아직도 우리에게 일본은 우리를 지배한 사악한 악의 근원 혹은 무조건 동경해야 할 절대선으로만 존재할 뿐 그들을 객관적으로 다루려는 노력은 하지않는 것 같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이 책은 메이지유신이라는 주제로 한 권을 책을 내려고 시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거기서 끝이다. 이 책은 위에서 언급한 우리의 일본근현대사 역사수준에서 하나도 벗어나지 못한다. 일단 저자는 메이지유신이 일제 침략주의의 시작이므로 나쁘다는 관점을 가지고 이들을 주도한 세력들은 나쁜 놈이라는 강박관렴에 사로잡혀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실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데 정신이 없다. 물론 역사책이 전적으로 객관적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이 책은 정도가 심하다. 예를 들어 이 책의 주인공으로 나오는 이와쿠라 토모미가 분역된 막부를 타도하고 근대국가를 건설한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근대적 혁명가임에도 그가 코우메이 천왕을 죽인 비열한 인간이라는 점을 시종강조하고 책 겉표지에 커다란 글자로 박아 논 점을 보면 너무 심하다는 생각만 든다. 또한 메이지 유신당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 후쿠자와 유키치를 "한국 침약 선동가"라는 말의 틀에서 비난만 하다가 끝낸 장면은 보면 작가가 아직도 "일본침략 외상후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느낄 수 있다. 그나마 내용이라도 풍부했으면 좀 도움이라도 될려만 책의 절반이상이 메이지 유신과는 직접 관련없는 메이지유신전 막부의 내용으로 그것도 여기저기서 인용한 글을 두세너번씩 반복하면서 장황하게 쓰고 메이지유신과 관련된 내용도 순서가 뒤죽박죽되고 같은 내용도 1장과 4장으로 나뉘어 여러번을 반복하고 그나마도 메이지유신속의 다양한 인물들을 건드리지 못한채 이와쿠마 토모미만을 살짝 건드리는 수준에서 끝나고 만다. 그러고 나서도 이런 거창한 제목을 붙이다니.
하지만 메이지유신에 대해 다룬 볼만한 책이 그나마 이 책정도이니 이거라도 만족해야 할 듯하다. 어째건 끝까지 책을 보면 막부이후 일본의 상황을 간단히 이해할 정도는 되니깐. 언제나 일본의 모습을 제대로 다룬 대중역사서가 나올지 안타까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