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수리 시편 - 심호택 유고시집
심호택 지음 / 창비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미새

 

                심호택

 

 

쌀 떨어진 딸네 집

양식 물어다 주고

쉬엄쉬엄 돌아가는 길인가

우리 할머니

부엌 창문 콕콕 두드리다

알은체해주니 오히려 날아간다

레덤불 속인지

외딴 절인지

간 곳은 알 수 없어도

까마종이 두 알

글썽한 눈매

남기고 가셨다

 

                     

 

 

 

 

물봉선이

 

 

 

싸가지 없는 아무개놈

속으로 욕하며 걷는 산길

바보여뀌 널려 있고

물봉선이 피어 있네

나밖에 볼 사람도 없는

시월이면 지고 말걸

빨간 물봉선이는, 아니

보라색 물봉선이는 뭐하러

저리도 곱게 피어 있나

여뀌는 또 무엇이 즐거워

저리도 깨가 쏟아지나

 

 

 

 

 

겨울 편지

 

 

 

아픈 건 그럭저럭 나았소

올해도 김장 몇포기 담갔소

 

사랑이여

당신이 사준 고동색 파카는

시골집 수도펌프가 입게 되었소

 

 

 

 

 

장화

 

 

 

형은 장화를 샀을까

물건이 떨어진 것은 아닐까

두 짝 모두 챙겼을까

 

낮 한시를 못 기다려 

십리 밖 옥구역에 마중 갔으나

군산에서 기차가 오고

형도 왔건만 보따리 속에는

장화가 없었다

 

눈도 눈도 많이는 와서

세상이 발 시린 날들뿐일 것만 같던

내 생애의 몇번째 겨울이었나

 

장화를 신고 산꿩마냥

눈밭을 헤집고 쏘다니고 싶었던

내 어린 꿈이 그 거뭇한

철둑길에 주저앉던 그날은

 

 

 

                      유고시집 [원수리 시편] 중에서(창비)

                     

                      심호택 시인은 1947년 전북 군산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 불어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91년 [창작과비평] 겨울호에 [빈자의 개] 등

                      8편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하늘밥도둑] [최대의 풍경] [미주리의 봄]

                      [자몽의 추억]이 있다.

                      원광대 불문과 교수를 지냈으며

                      2010년 1월 교통사고로 타계했다.

 

 

그의 시는 어쩐지 아리다

그의 부재 탓일까

왜 부재중인 시인들의 시는 가슴에 담기는 건지.......

'아픈 건 그럭저럭 나았소'

하고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싶어지는 밤이다

그의 시집은 가끔

가끔

읽고 싶을 때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