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촛불 애지시선 24
복효근 지음 / 애지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복효근

파도가 섬의 옆구리를 자꾸 때려친 흔적이
절벽으로 남았는데
그것을 절경이라 말한다
거기에 풍란이 꽃을 피우고
괭이갈매기가 새끼를 기른다
사람마다의 옆구리께엔 절벽이 있다
파도가 할퀴고 간 상처의 흔적이 가파를수록
풍란 매운 향기가 난다
너와 내가 섬이다
아득한 거리에서 상처의 향기로 서로를 부르는,              

                              

                                    시집 [마늘촛불](도서출판 애지) 중에서   

1962년 전북 남원에서 태어나 1991년 [시와 시학]으로 작품 활동 시작했다
시집으로[당신이 슬플때 나는 사랑한다][버마재비 사랑][새에 대한 반성문] 
[누우 떼가 강을 건너는 법][목련꽃 브라자] 시선집[어느 대나무의 고백] 
 

 

 

섬,
섬....... 이처럼 그리움 물컹물컹해지는 단어도 만나기 쉽지 않겠지요.
섬.
우리는 모두 섬입니다.
아픔에 밤새 파도 뒤척여도 보고, 사는 회한에 떠밀려 격랑의 폭풍우도 만나지만
고요하게 햇살 잘게 부수며 일렁이는 매일의 일상에 충실한 섬, 섬, 섬들.
하지만 우리는 늘 떠남을 꿈꾸고 더욱 더 멀고 아득한 다른 섬을 가슴에 품고 삽니다.
그리워하는 것, 꿈꾸는 것, 그것이 우리의 숙명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어~! ‘풍란 매운 향기’ 여기까지 가득합니다.
당신의 옆구리께 절벽에서 떠나온 향기인 듯싶습니다.^^
삶은 고단해도 생의 바다에 떠있는 한 점 위안의 섬.
바로 그대가 섬입니다.
우리들의, 우리들 자신의 섬입니다.
부디 꿈꾸기를 멈추지마십시오.  

 

  

명작

지리산 자락에
백로 한 마리 가로질러 날아간다

산이 푸르니
새 더욱 희다*

아무 흔적도 남지 않는
저 필생의 한 획

누구의 그림인가, 시인가
내가 그만 낙관을 눌러버리고도 싶었으나

낙관이 없어서, 서명이 없어서
더욱 명작인,

*두보의 絶句 가운데 한 문장 ‘江碧鳥逾碧’ 에서 빌려옴. 

 

 

 

[마늘촛불] 참 좋아요.

이런 시집을 백만 번쯤 읽으면 저도 시를 쓸 수 있을까? 생각해보았어요.

백만 번 읽어서 그래진다면 이백만 번 읽어도 좋을 텐데요.

시의 편, 편들이 무릎 꿇게해요.

겸손한 서정이 가난한 제 영혼을 배부르게 만들어 준다는 걸 시인께서 아실까요.

이런 시집을 생일 선물로 받은 *미는 좋을 거예요. 그치요. ㅋ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