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15권 양장본 세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모든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인 이야기 10 권의 제목이다.
 월드컵의 열기속에서 현재의 로마, 이탈리아가 하는 행동들을 지켜보면서 고대로마가 그리웠다.
 봄부터 책상 위에 놓여있는 이 책을 집어든 것은 당연한 결론이었을 것이다.
 책 표지를 장식한 아피아 가도를 따라 한 없이 걸으면 고대로마를 만나게 될까.
 수돗물이 쉬지않고 콸콸 쏟아지는 로마 거리를 보게 될까.
 기대로 시작한 책읽기는 무리한 인내심을 요구했다.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거의 논문에 가까운 연구서였던 것이다.
 연작이 아니라면 도저히 읽을 수 없고 아마 손도 대지 않을 취향이었다.
 지극히 싫어하는 공부를 해야하는 심정으로 억지로 끼적거리며 먹기 싫은 밥, 퍼먹듯 시작했다가 어느 순간 허겁지겁 먹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연필로 밑줄까지 좍좍그어가며 읽었다.
 그것이 나나미의 작가적 역량 이라는데 생각이 미친다.
 전문가 정신, 독자를 사로잡는 능력을 그는 가졌다.

 로마를 이해하기 위해 팍스로마나를 실현한 로마를 알기위해서,
반드시 거쳐가야 할 로마적 사고가

정복한 나라에 도로를 만들고, 마실수있는 수도를 끌어들이는 것에서부터 시작 되는 걸 알 수있었다.
 정복한 나라를 속국으로만 보지 않고 세계인, 로마인으로 동화 시키는 힘은 바로 거기,
동등한 주권을 주고 길을 내어 누구나 왕래가 가능케하고 그 권리를 즐길수 있도록 유지 관리 하게 한것이다. 군주가 바뀐다고 정책을 바꾸지 않고 일관성 있게 계속 한 그 힘이 로마에게 천 년의 영광을 주었구나하는 확신이 생긴다.

 일회적으로 생겨났다 소멸되는 그 많은 입법 사안들.
소파협정 개정하라고 목이쉬게 외치는 목소리, 채 피어나지도 않은 여린 목숨들이 길바닥에 내동이쳐도 모르쇠하고 니잘났니 나잘났네 하고있는 금배지의 군주들.
 열흘씩이나 물에 잠겨 목숨 같은 것들은 악취를 풍기고 썩어가는데 몇 푼의 돈으로 할일 다한 것처럼 늦여름 휴가를 가려는 나의 몰염치성에도 민족이라는 이름을 붙일수 있을까.

 길이 인프라임을 확신하고 그 기반 위에 나라를 구축한 로마.
 로마인 이라는 자긍심에 어떤 길 하나 대충 만들지 않고 지형에 맞게 소재에 맞게 길을 만들고 다리를 놓은 융통성, 그런 것들의 부재를 뼈아프게 각성케한다.

 "현명한 사람은 역사에서 배우고 어리석은자는 경험에서 배운다는 격언이 있다지만,

나는 역사와 경험 양쪽에서 배우지않으면 정말로 배우는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역사는 지식이지만 그것을 피가 통하는 산 지식으로 만들어 주는 것은
경험이라고 생각 하기 때문이다."
 나나미의 이 말이 오래도록 귓전에 울린다.

 제국의 심장, 로마.
 그 곳으로 이르는 길은 잘 닦여있고 100년동안 관리를 안해도
유지가 가능케한 기술자들의 프로정신이 묻혀있다.
 지금도 이탈리아의 국도는 당시의 가도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니 놀랍지도 않고 부럽다는 생각이든다.
 그렇게 로마로 가는 길들은 살아서 내게로 걸어오라 한다.
 그것이 꼭 로마를 향해서든 이상을 향해서든.
 정말 마음에 꼭 드는 아피아가도를 내 가슴에도 놓아야겠다.

 그 지형에 맞게 주변 소재에 맞게.


                                                       2002. 8. 21.  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