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평범성 1








˝광주 수산시장의 대어들.˝

˝육질이 빨간 게 확실하네요.˝

˝거즈 덮어놓았습니다.˝

˝에미야, 홍어 좀 밖에 널어라.˝



1980년 5월 광주에서 학살된 여러 시신들 사진과 함께

어느 인터넷 사이트에 올라 있는 글이다.



˝우리 세월호 아이들이 하늘의 별이 된 게 아니라

진도 명물 꽃게밥이 되어 꽃게가 아주 탱글탱글알도 꽉 차 있답니다~˝



요리 전의 통통한 꽃게 사진과 함께

페이스북에 올라 있는 글이다.

이 포스팅에 ‘좋아요‘는 500여 개이고

감탄하고 부러워하는 댓글은 무려 1500개가 넘었다.

‘좋아요‘보다 댓글이 더 많은 경우는 흔치 않다.



사진을 올리고 글을 쓰고 환호한 사람들은

모두 한 번쯤 내 옷깃을 스쳤을 우리 이웃이다.

문득 영화 <살인의 추억> 마지막 장면에서

비로소 범인을 찾은 듯 관객들을 꿰뚫어보는 송강호의 날카로운 눈빛이 떠오른다.

범인은 객석에도 숨어 있고 우리집에도 숨어 있지만

가장 보이지 않는 범인은 내 안의 또다른 나이다.









악의 평범성 2







˝불교 승려들이 숲을 지날 때 혹 밟을지도 모르는 풀벌레들에게

미리 피할 기회를 주기 위해 방울을 달고 천천히 걷는다는 말에

난 아주 깊은 감동을 받았다.

우리는 그동안 아무 생각 없이 얼마나 많은 생물들을 밟아버렸던가.˝



득음의 경지에 이른 어느 고승이나 성자의 얘기가 아니다.

유대인 학살을 총지휘한 나치 친위대장 하인리히 히믈러의 말이다.

전 친위대원을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채식주의자로 만들고

가난하고 소박한 생을 최고의 삶으로 꿈꾼 사람이기도 했다.

악의 비범성이 없는 것이 악의 평범성이다.

우리의 혀는 여기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다.









악의 평범성 3





몇년 전 경주와 포항에서 지진이 일어났다.

그때 포항의 한 마트에서 정규직은 모두 퇴근하고

비정규직 직원들만 남아 헝클어진 매장을 수습했다.

밤늦게까지 여진의 공포 속에 떨었다.

대부분 아르바이트 학생들과 아기 엄마들이었다.

목숨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차별받는 세상이다.

지진은 무너진 건물의 속살과 잔해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인간의 부서진 양심과 잔인한 본성까지도 보여준다.

정말 인간은 언제 인간이 되는가.

불쑥 영화 「생활의 발견」에 나오는 대사가 떠오른다.

˝우리 사람 되는 거 힘들어.

힘들지만 우리 괴물은 되지 말고 살자.˝





이산하시인의 시집 [악의 평범성]중에서











이월, ‘한나 아렌트‘와 함께했다.

어느 책을 읽어도 이산하시인의 ‘악의 평범성‘이 내내 따라다닌다.

‘아히히만‘은 과거의 독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 곁에 있다.

내 안에도 있다.



바람이 차다.

골목을 휘돌아치는 익명성의 바람은 더욱 ‘매섭다.‘

그래도



삼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