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시선 408
안미옥 지음 / 창비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집

          안미옥

    내가 맛보는 물은 바닷물처럼 따스하고 짜며,

건강처럼 머나먼 나라에서 오는군요.

-실비아 플라스 『튤립』

 

 

  굴레도 감옥도 아니다

  구원도 아니다

 

  목수가 나무를 알아볼 때의 눈빛으로

  재단할 수 없는 날씨처럼

 

  앉아서

 

  튤립, 튤립

  하고 말하고 나면

 

  다 말한 것 같다

 

  뾰족하고 뾰족하다

 

  편하게 쓰는 법을 몰랐다

  편하게 사는 법을 모르는 것처럼

 

  기대하는 모든 것을

  배반해버리는 곳으로 가려고

 

  멀고 추운

  나라에서 입김을 불고 있는 너는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마음에서 시작된다는 건 정말일까

  한겨울을 날아가는 벌을 보게 될 때

 

  투명한 날갯짓일까

  그렇다면

 

  끔찍하구나

  이게 전부 마음의 일이라니

 

         시집[온]중에서

 

 

  "그럼에도 계속 쓰는 사람이었던 것은, 내가 매 순간 쓰는 사람이 되는 것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돌이켜 생각하니 선택의 순간이 많았다. 그때마다 나를 붙들어준 문장과 사람들의 말이 있었다. 결국엔 함께하는 일. 나는 함께 살고 싶다"

     ---시인의 말 중에서

 

 

   쓰는 사람.

  그런 사람이 되기로 결정한 순간부터 그 꿈에서 한 번도 벗어난 적 없다. 그러나 누구나 시인처럼 '쓰는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정도의 쓰는 사람으로 남는 것 또한 후회하지 않는다. 내게도 항상 '문장과 사람들의 말'이 있었지만 스스로 받아 적기는 버거운 일이었다. 하여 '쓰는 사람'이 받아 적은 것들을 되새김하는 것으로 만족한다. 그런 사람도 있는 것이다. "목수가 나무를 알아볼 때의 눈빛"을 갖지 못했기에 '쓰는 사람'이 되지 못한 것 같다. 어쩌면 "편하게 쓰는 법을 몰랐다/ 편하게 사는 법을 모르는 것처럼"그래서인지도 모르겠고. 쓰는 사람만큼이나 읽는 사람도 필요한데 그것이 "쓰는 사람"들의 동력일 텐데, 많은 이들이 쓰고자 하지 읽는 이로 남으려고는 하지 않는다. (그중에 포함되는 1인임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소망한다고 누구나 그리될 수는 없다. 과한 욕심들이 무구한 나무의 목숨만 앗을 뿐이다.) 시인은 전부를 다해(온) 쓰는 사람, 즉 시인이 되었는데, 시는, 시집은, 시인에게 "굴레도 감옥도 아니다/ 구원도 아니"라는 것을 알아버렸다. 그러나 "마음에서 시작된" 다시는 놓아버릴 수 없는 쓰는 사람의 고통은 "끔찍하구나/ 이게 전부 마음의 일이라니" 다른 마음을 가질 수 없는 거구나.

  그러나 이런 시를 만나고 새로운 시인을 알아가는 하루는, 온전하게 새로운 하루다. 근무가 off인 오늘을 충만함으로 채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21-05-26 1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쓰는 사람.˝ 아래로 쓰신 첫 세 문장에 완전히 빗장이 열려서 목 아플 때까지 고개 끄덕끄덕하면서 읽었습니다.
그 세 문장에 녹은 마음이 어떤 것인지 감히 조금쯤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2021-05-27 15:37   좋아요 0 | URL
목은 괜찮으신거지요^^
그 짐작이 아마도 맞지 싶네요~ ㅎ
syo님 흔적,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