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두번이나 읽고도 느낀 걸 써내기가 이처럼 막막한 적도 없다.

나는 도대체 무엇을 읽었는가...

 

어이없게도 나는 '외국에 사는 사람은 지구 위의 빈 공간을 걷는 사람이다. 그에게는 가족과 직장 동료와 친구, 어릴 적부터 알고 있어서 어렵지않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진 나라가 모든 인간에게 제공하는 구명줄이 없다.' 이 글에 끌렸다.

밀란이 말하려고 하는 핵심이 이게 아니란 걸 너무나 잘 알면서도 말이다.

 

우연의 연속 끝에 만나 테레사에게 구속되어 가는  토마스는 결코 관계의 속박을 원치않는 관계의 가벼움만을 지속하고 싶어하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테레사의 표현처럼 ' 그를 더욱 낮은 곳으로 끌고 가 시련에 빠뜨리는' 상황에 기꺼이 동참한다.

테레사를 사랑하고, 기꺼이 어려운 상황에 빠진 그는 그러나 끊임없이 다른 여자를 찾아나선다. 이건 아직도 그가 관계의 무거움에 빠지지 않으려는 최후의 몸부림이었나?

누군가에게 정착하여, 평범하게 사는 삶을 꿈꾸면서도 끊임없이 배반하는 사비나와 끊임없이 토마스의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하고 의심하면서도 그를 포기하지 못하는 테레사의 삶은 상반된 이미지이다. 

 

작가가 부여했던 무거운 육체의 가벼운 영혼 토마스, 무거운 사랑을 원한 테레사, 가벼움의 대명사가 된 사비나, 무거운 사회적 규범에서 가벼움의 세상으로 발을 디딘 프란츠의 삶이

밀란이 구분지으려 했던 가벼움과 무거움인지 난 잘 모르겠다. 

 

그러나, 중요한건 그들이 원해서 선택한 삶이었건, 상황에 의해서 끌려간 삶이건 그 삶은 한 번 뿐이라는 것, 선택되지 않은 삶을 연습할 장이 없다는 것이다. 아마도 작가가 주목한건 이게 아닐까?  작가는 누구의 삶이 옳다고 언질을 주지는 않는다. 

토마스가 의사의 직업을 버리고, 고단한 트럭 운전사의 삶을 산 것이 옳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건 객관적인 잣대일 수도 있을테니 말이다. 누가 아는가 그의 삶이 행복했는지....

 

작가는 또한 나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자웅동체였던 나의 반쪽이 지금 살고 있는 남편(아내)이 아니라면...그 반쪽을 나중에 만난다면, 그렇다면 난 지금의 남편(아내)이 아닌 너무 늦게 찾은 반쪽을 선택해야하는가?

그는 이 대답에 후자의 손을 들어주는 것 같았지만, 나는 조금 생각이 다르다.

사랑이 꼭 설레임이나 떨림만은 아니라는 걸 알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비록 지금의 남편(아내)이 나의 반쪽이 아니었더라도, 그와 함께 한 그 많은 시간을 어찌할 것인가...

 

역시나 시대의 아픔을 겪은 자의 사고는 그곳에 머물 수 밖에 없나보다.

우리의 부모세대가 겪었던 전쟁의 아픔이나 우리의 선배들이 겪었던 자유의 투쟁에서 그들이 자유롭지 못한 것처럼, 밀란에게도 역시 프라하의 봄은 그런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꺼운 책이 정말 술술 잘도 읽힌다. 스토리가 그리 흥미진진하거나 긴박하지도 않은데도 달의 궁전은 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정말 (여기서는 문장을 의미함) 쓴다.

나는 스토리보다도 그의 맛깔스런 글에 끌렸다. 오타가 많아서 거슬리긴 했지만,

 

결국은 사랑인가.

 

아버지가 누구인지도 모르며, 어머니의 사랑을 충분히 받기도 전에 주인공 마르코는 외톨이가 된다. 의지하던 오직 사람 외삼촌마저 세상을 떠나자 그는 무모한 도전을 한다.

세상에 대해 딴지를 건다.

'내가 이렇게 나를 놓아버려 죽음을 재촉한다면, 세상은 나를 어떻게 것인가.'

그러나 이런 어이없는 결정을 하는 동안에도 그에게 관심을 갖는 사람은 없다

세상에 아무도 없다는 외로움은 그를 그렇게 극단의 상황으로 몰고간다.

 

나락의 끝에서 만난 토마스 에핑.

나는 정말 그에게 화가 난다.

토마스가 만약 사막에서, 동굴에서 먹을 것만 취하고, 가정으로 돌아왔다면, 그랬다면, 비극이 3대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정말 너무나 이기적인 사람이다.

그의 어이없는 선택으로 인한 불행은 그의 아들 솔로몬에게 이어지고 그것은 다시 솔로몬의 아들 마르코에게까지 이어진다.

 

극적인 만남과 우연으로 상황을 풀어나가는 작가의 방식에 그의 상상력을 의심하기도 했지만, 결국 그런 우연을 통해서 그들은 세상에 화해하게 된다.

마르코는 할아버지를 만나고, 아버지를 만나면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후에 세상과 화해하며 세상 속으로 들어갈 있게 된다.

 

지극히 소외받고 외로운 그들의 삶은 바로 제대로 사랑받지 못했다는것, 자기를 사랑해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데서 온다.

아마 작가가 삼대의 극단적인 삶을 통해서 보여주려고 '가족' 것이다.

가족과 살부비며 살아가는 일상이 없기에 자신을 사랑해주는 부모가 없기에, 자신이 기댈 언덕이 없기에 느끼는 고독과 외로움을 통해서,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표현하려고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