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기는 부모가 자녀를 큰사람으로 키운다
전혜성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대단한 양반이다.

역시 훌륭한 자식 뒤엔 훌륭한 부모가 있다.

자식 자랑이 너무 지나친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안한건 아니지만, 나라도 내 자식들이 저 정도되면 마이크잡고 다니면서 자랑할 것이다.

 

나처럼 작은 사람이 실천하기엔 너무 벅찬 내용들이 많지만, 곱씹어 보아야 할 내용이 참 많다.

남녀간의 사랑도 참고 노력하고 배려해야 하는 것인데, 하물며 갓난아이를 어른으로 성장시키야 하는 그 긴 레이스를 쉽게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오산이다.

그만큼 아이를 키우는건 참 어렵다.

일관성을 갖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사랑하고 인내하는 게 어렵다.

그렇지만, 아이를 키우는게 꼭 희생만은 아니란 걸 또 안다.

힘들지만, 그 속에 기쁨이 있고 행복이 있다. 보람이 있다.

이건 부모가 아닌 사람은 모를것이다. 나도 그랬으니.

엄마의 걱정스런 말이 다 잔소리로 들렸으니 말이다. 그게 사랑이란걸 몰랐다.

 

역시나 여기서 주장하는 건 아이를 인격체로 대하라는 것.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건 덕승재(德勝才), 덕이 재능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것.

너무나 맞는 말이다.

아이를 키우며 늘 기억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나 간과하기도 쉬운 부분이다.

점점 더 세상이 덕보다는 기술, 성과, 재능을 강조하는 시대로 흘러가니 말이다.

그래서, 저자는 봉사도 많이 하고, 나보다 못한 사람을 돕는데 늘 관심을 기울이라고 당부한다.

 

理論無實踐卽無生命, 實踐無理論卽無魂: 실천 없는 이론은 생명이 없고 이론 없는 실천은 혼이 없다. 그저 이론에만 치중해서 현실과 동떨어진 공부를 하거나 혹은 공부가 현실과 거리가 먼 이야기라고 느끼게 되면, 아이는 세상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게 된다.

저자가 리더가 되기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 대목이다.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아이를 진정한 리더로 키우기 위한 많은 내용들이 나에겐 너무 거창하게 여겨진 부분도 있지만 나이 드신 분의 고견이라 생각하고 장점만 보기로 했다.

나보다 지혜로운 분의 경험담을 트집잡아야 할 이유는 없다. 저자의 말처럼 아이키우는데 정답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존 러스킨의 '우리의 노력에 대한 가장 값진 보석은 노력 끝에 얻게 되는 그 무엇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우리 자신의 모습이다'라는 글은 너무나 멋져서 꼭 기억해 두었다가 나중에 아이들에게 꼭 말해주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