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종목의 주식을 사야 좋을지, 어디에 집을 사면, 어디에 땅을 사면 좋을지 꼭 찍어주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차라리 다른 책을 선택하는게 나을 것 같다.

 

이전부터 시골의사의 글 들을 읽어 알고 있었던 터이지만, 그의 실력과 필력이 만만치 않다.

경제서치고는 꽤나 잘 읽힌다.

경제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우는데 좋은 책이다.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아는게 중요하다는 필자의 생각에 나도 동의한다.

 

시골의사가 말하고자 하는 걸 적어보자면,

실은 어느 종목에서 얼마를 벌었는지보다 왜 벌었는지가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초심자의 행운으로 운좋게 벌었다면, 다음엔 운나쁘게 돈을 잃을 기회도 있을테니까. - 그걸 일깨워주기 때문에 책 값이 아깝지 않다.

 

지금 비록 투자를 하지 않더라도 늘 관심을 기울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책 어딘가에 적힌 글처럼 '머리를 빌릴 수는 있다. 그러나 어떤 머리를 고를까 안목을 기르는게 중요하다' 그러니 이젠 실력이다. 일례로 수많은 펀드 중에 어떤 상품을 고를지 결정하는 것도 쉽지않다. 그래서 잘 고르려면 나도 알아야 한다. - 돈 버는게 점점 어려운 시대다. 점점 피곤한 사회로 가고 있다.

 

필자가 주장한대로 경제를 바라보는 핵심이 이자율과 인플레이션이라는데 나도 전적으로 동감한다.

헌데, 특히 그 이자율이란 놈은 이해하기가 너무 어렵다. 이거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경제흐름을 그대로 꿰찰수 있는데...

 

아마, 경제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나에겐 비교적 쉬운 책이었는데, 이 쪽 분야를 전공한 내 기준인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누구처럼 하면 얼마를 벌수 있다는 류의 책보다는 장점이 훨씬 많은 책이다.

-- 쓰고보니 출판사 직원의 추천 글처럼 되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