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해록 : 조선 선비가 본 드넓은 아시아 샘깊은 오늘고전 10
방현희 지음, 김태헌 그림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해록』은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일본 스님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와 더불어 세계 3대 중국 여행기에 꼽히는 빼어난 기행 문학이다. 또한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함께, 우리 겨레가, 우리 겨레의 눈으로 보다 드넓은 세계를 보고 남긴 소중한 역사 기록이기도 하다.' 라고  책소개가 되어 있다. 그런데,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은 들어봤는데, 우리나라의 선비가 썼다는 '표해록'이라는 책 제목도 '최부'도 생소하다.  세계 3대라는 거창한 수식어가 붙었는데, 어째서 나는 처음 들어본 제목처럼 느껴지는지 이상했다. 그렇게 중요하다면 어째서 국사 시간에 배운 기억이 없는지.... 

 

표해록은 바다 위에서 풍랑을 맞아 표류했던 성종 때(15세기)의 선비 최부가 바다 위에서  당했던 최부와 일행이 다시 조선으로 돌아오는 여정을 적은 기록이다.  제주도에 파견 근무를 나선 최부는 아버지의 임종소식에 급히 배를 띄웠다가 풍랑을 맞아 천신만고 끝에 중국에 도착하나, 그곳에서도 왜군으로 오해받아 죽을 고비를 숱하게 넘기게 되지만 조선 선비로서의 기개와 높은 학식을 드러내어 오해를 풀고 조선으로 돌아오게 된다.

 

최부의 표해록이 가치를 갖는 이유 중의 하나는 조선인 최초로 중국의 강남을 두루 보았다는 것이다. 조선은 중국과의 왕래에 육로를 이용했기에 조선의 북쪽을 지나 요동으로 향하거나 아니면 산동을 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중국의 문화와 경제가 풍요로웠던 항주나 소주 등의 강남을 본 최초의 조선인이 최부였다는 사실은 놀랍다. 조선에 많은 영향을 끼친 중국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접했던 부분이 지극히 좁고 편협했기 때문이다. 오로지 중국으로 오가는 그 길과 도시만이 조선이 알고 있었던 중국의 전부였다니.

우리가 붙잡고 있었던 중국조차도 중국의 일부였다는 사실을 접하니 허탈했다. 이제 조선은 최부라는 선비와 그 일행을 통해 새로운 세상과 문물, 필요한 것들을 받아들이는 좋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기대했지만, 그는 당파싸움의 희생양으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 틀을 최부라는 선비가 멋지게 확장시켜주었다면...하는 아쉬움이 있다.

 

책에서 최부는 일견 고지식해보이기도 했지만, 바다 위에서 내일을 기약할 수 없어 모두들 포기하고 있을 때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독려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위기에서는 과감하게 결정을 내릴 줄도 알았고, 중국의 관료를 만나는 자리에서도 조선의 선비로서 기개와 높은 학식을 보여주었다. 나에게 조선의 선비는 조금 비관적인 형상 - 당쟁과 당파싸움, 제도와 법을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고지식하고  꽉 막힌 - 이 먼저 떠오른다. 그런데, 책에서 당당한 모습의 최부를 만날 수 있었다.

지구는 평평하고 네모라고 생각했던 그 시절, 바다에서 물도 식량도 떨어진 그 순간에도 희망을 끈을 놓지 않던 최부의 모습과 아버지의 장례에 상주로 참석하지 못해서 비통해 하던 모습을 보면서 희망이라는 단어와 효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된다.

 

비록 내 기억에는 들은 적도 배운 적도 없었던 최부의 [표해록]을 이제 어린이를 위한 고전에서 만나게 되었다. 우리의 역사에 대해, 인물에 대해 기존의 시각과 틀에만 얽메이지 않고 다양하게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