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 박경리 시집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 문학계의 큰 산이신  박경리 선생이 영면하셨습니다.  그 분의 마지막이 담긴 유고시집.
말년의 선생의 삶과 사유가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소설가로만 알고 있었지만, 시인이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저는 '김약국의 딸들'밖에는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사실 '토지'는 너무 방대해서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시를 읽으면서 선생의 노년이 어떠했는지 만나보게 됩니다. 80평생이 담긴 시는 시이면서 선생의 독백같습니다.
시들은 왠지 쓸쓸한 느낌이 납니다. 

선생님의 삶은 많이 외로우셨나요? 글 속에 갇혀 사셨나요? 자연과 벗하시던 선생님의 사진을 책에서 봅니다. 여고시절의 앳된 사진과 직접 그리셨다는 순정만화풍의 그림과 저보다 젊으셨던 사진도 봅니다. 이상한 기분이 듭니다.  

<산다는 것은>과 <사람의 됨됨이>는 저에게 당부하는  글같습니다.  

 속박과 가난의 세월
그렇게도 많은 눈물 흘렸건만
청춘은 너무나 짧고 아름다웠다
잔잔해진 눈으로 뒤돌아보는
청춘은 너무나 짧고 아름다웠다
젊은 날에는 왜 그것이 보이지 않았을까

- 산다는 것- 중에서

 
저 역시도 - 선생이 보시기엔 새파랗겠지만 - 한 번 가면 오지 않을 그 찬란한 청춘을 그냥 보내 버렸습니다. 언제나 그 시절은 너무나 짧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을 지나고 나서 후회하게 됩니다. 그게 산다는 것이겠지요.


선생이 우리에게 이러이러하게 살게나 권면하는 시를 읽으면서 숙연해집니다. 지금까지 살아오시면서 보아오신 모습이 담겨있어서, 또 인색한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인생은 그렇게 사는 게 아니라네, 라고 말씀하시는 것 같아서 한글자 한글자 곱씹으며 읽게 됩니다.

<사람의 됨됨이>

가난하다고
다 인색한 것은 아니다
부자라고
모두가 후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람의 됨됨이에 따라 다르다

 
후함으로 하여
삶이 풍성해지고
인색함으로 하여
삶이 궁색해 보이기도 하는데
생명들은 어쨌거나
서로 나누며 소통하게 돼 있다
그렇게 아니하는 존재는
길가에 굴러 있는
한낱 돌멩이와 다를 바 없다
 

나는 인색함으로 하여
메마르고 보잘것없는
인생을 더러 보아 왔다
심성이 후하여
넉넉하고 생기에 찬
인생도 더러 보아 왔다

 
인색함은 검약이 아니다
후함은 낭비가 아니다
인색한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해 낭비하지만
후한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는 준열하게 검약한다


사람 됨됨이에 따라
사는 세상도 달라진다
후한 사람은 늘 성취감을 맛보지만
인색한 사람은 먹어도 늘 배가 고프다
천국과 지옥의 차이다
 

선생님, <일 잘하는 사내>를 읽고 있자니 슬그머니 저도 마음 한구석 아립니다. 그리고 저희 엄마 생각을 했습니다. 선생님의 세대가 대체로 그러하듯 부부간의 알콩달콩한 사랑을 모르셨을테니까요.  그저 밥먹고 살아가는 것조차 버거웠던 시대였으니까요. 선생님이, 저희 엄마가 부모님께 하셨던 것을 자식들에게는 기대하기 어려운 시대잖아요. 저 역시도 시대의 조류에 편승한 불효자식이구요. 그게, 알면서도 참 어려워요. 부모님께 잘 해야지 하면서도 늘 다짐뿐이고, 그때뿐입니다. 그래서, 외로우셨나요? 잘은 모르겠지만, 선생님은 왠지 바깥분과 일찍 사별을 하셨거나, 아님 남남이 되셨을것 같아요. 외람된 추측인가요? 선생님의 시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마음 한 켠 아린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일 잘하는 사내>

다시 태어나면
무엇이 되고 싶은가
젊은 눈망울들
나를 바라보며 물었다

 
다시 태어나면
일 잘하는 사내를 만나
깊고 깊은 산골에서
농사짓고 살고 싶다
내 대답

 
돌아가는 길에
그들은 울었다고 전해 들었다
왜 울었을까


홀로 살다 홀로 남은
팔십 노구의 외로운 처지
그것이 안쓰러워 울었을까
저마다 맺힌 한이 있어 울었을까


아니야 아니야 그렇지 않을거야
누구나 본질을 향한 회귀본능
누구나 순리에 대한 그리움
그것 때문에 울었을거야

 
저에게 가장 아프게 다가왔던 시를 적어볼게요. 왜인지는 모르겠어요. <바람>이라는 시를 읽고 있자니 괜히 슬퍼져요. 책을 덮고 나서도 이 시가 한동안 저에게 머물러 있습니다. 

선생의 시를 조금은 숙연하게 읽었습니다. 그렇게 읽는 것이 가신 분에 대한 예의같아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부디 가신 그 곳에서 편하시기를.... 

<바람> 

흐르다 멈춘 뭉게구름
올려다보는 어느 강가의 갈대밭
작은 배 한 척 매어 있고 명상하는 백로
그림같이 오로지 고요하다


어디서일까 그것은 어디서일까
홀연히 불어오는 바람
낱낱이 몸짓하기 시작한다
차디찬 바람 보이지 않는 바람
 

정수리에서 발끝까지
뚫고 지나가는 찬바람은
존재함을 일깨워 주고
존재의 고적함을 통고한다
 

아아
어느 始原에서 불어오는 바람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