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갈의 아라비안 나이트
리처드 F. 버턴 지음, 김원중.이명 옮김, 마르크 샤갈 그림 / 세미콜론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샤갈'의 아라비안 나이트라는 타이틀 때문에 단숨에 선택했다. 그림의 첫느낌은 몽환적이다. 그리고, 목차는 낯설다.

물론 네이버의 백과사전에 의하면 아라비안 나이트는 총 280여편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니 샤갈이 고른 줄거리가 낯선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아라비안나이틀 정식으로 읽어본 기억이 없다.  기억나는 이야기가 있다면, 만화영화로 접한 '신밧드의 모험',  '40인의 도적과 알리바바', '알라딘과 요술램프'정도이다. 샤갈은 또 어떤가? 김춘수 시인의 시제목 덕분에 너무나 친숙한 화가이다.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덕분에, 또 이전에 자주 가던 카페의 이름이 '샤갈의 눈 내리는 마을'이었다는 이유만으로 나에게 샤갈은 친숙한 이름이다.

 그러나, 거기까지이다. 책을 통해서 그가 비교적 요즘 시대의 화가란 것을 알았다. 다시 한 번 검색을 이용해서 샤갈의 그림들을 보았다. 샤갈의 그림은 어딘지 몽상적이기도, 몽환적이기도 한, 현실의 눈으로 보자면 한 쪽으로 벗어난 그런 그림이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샤갈도, 아라비안 나이트도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 너무나 익숙한 이름이어서, 책이어서 나도 모르게 잘 알고 있다는 착각을 했다.

 

우리의 옛이야기들은 대체로 권선징악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계모에게 구박받던 콩쥐가 나중엔 잘 된다던지, 다리를 다친 제비를 고쳐주었더니 제비가 박씨를 물고 와 보은을 했다던 착한 흥부이야기라든지...

 

샤갈이 판화로 표현한 그림과 이야기는 우리의 옛이야기와는 사뭇 다르다. 거기에는 딱히 권선징악이라고 결론짓기에는 애매한 구석이 있다. 일천일하고 하룻밤을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 이야기를 꾸려나가야 했던 화자 셰에라자드 왕비의 절박함과 그녀의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는 샤리아르왕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해야 했던 이야기이니 권선징악의 단순구조로는 3년여의 긴 세월을 견뎌낼 수 없었을 것이다.

 

재미있는 일일드라마를 보는 것처럼 이야기는 'to be continued'이며, 한 번 이야기에 빠지면 다음이 궁금해서 뒷 페이지를 얼른 넘기게 된다.

 

이야기는 총 4편 "흑단마" "바다의 여인 줄나르와 아들 바드르 바심 왕" "어부 압둘라와 인어 압둘라" "카마르 알 자민과 보석상의 아내" 이다.

이야기 구조는 복잡하며, 이런 이야기가 그 옛날에 씌여졌단말이야? 라며 의구심을 품게 된다. 인간의 본성을 들여다 보는 듯한 이야기. 그리고, 우리와는 다른 문화의 이야기는 역시 다르구나 라고 느끼게 되는 가치관의 차이 등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한 번도 보지 못한 여인의 아름다움을 우연히 들었을 뿐인데도 사랑에 빠져 버린 바심왕이 그녀를 만나게 되는 부분이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세상의 것이 아닌듯 황홀하지만, 그 아버지의 안하무인을 그대로 닮은 듯한 그녀가 바심왕을 사람에서 '새'로 만들어 버리고, 이로 인해 숱한 고초를 겪은 뒤 사람이 된 바심왕은 그녀를 부인으로 받아들인다는 부분은 역시 문화의 차이는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글 어디에도 그녀가 그에게 미안해하더라는 부분도 없고 그녀를 용서했다는 구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너무도 당연하게 그들은 결혼을 하여 행복하게 살았더라는 구조는 아무래도 생소하다.

 

이래서, 다른 문화권의 문학을 접하는 즐거움이 있다. 나와는 다른 사고의 틀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우리가 어디서 만날 수 있겠는가? 또한, 어부 압둘라와 인어 압둘라는 우리의 토끼와 거북이를 생각나게 한다. 아니 인어공주가 더 유사한가? 다른 듯 닮은 이야기, 닮은 듯 다른 이야기를 만났다. 아쉬운 점은 예나 지금이나 이쁘고 잘생기고 봐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