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
마쓰후지 타미스케 지음, 이연숙 옮김 / 원앤원북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저자가 이 책을 쓴 시점이 언제일까가 일단 궁금했다. 일본에서 먼저 출간된 후 한국에서 출간했다면 2006년말이나 2007년 초쯤이 되지 않을까? 그렇다면 저자의 글은 미국발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것을 꽤 잘 맞춘 셈이 된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채권이 삐걱 거리기 시작한 것은 2007년 초쯤이다. 당시는 이 문제가 이렇게 걷잡을 수 없을만큼 커다란 문제가 되리라곤 생각치 못했다. 씨티도 메릴린치도 JP모건도 AIG...거의 모든 미국계 금융기관들은 커다란 손실을 입었다. 얼마 전부턴 유럽계도(ubs였던가?) 동참하고 있다.

도대체 미국의 서브 프라임 모기지가 뭐길래 이토록 전세계가 벌벌 떨고 있는가? 미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거의 모든 국가가 하나로 묶여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한 예가 아닐 수 없다.

 

몇 년째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의 주식시장은 대세상승기였다. 너도 나도 이익을 보던 시장이었다. 그러니 돈은 넘쳐나고, 그 돈으로 소비를 하니 어디든 호황일 수 밖에. 그 돈은  결국 소비로 가게 되어 있다. 명품을 소비하든, 금융시장에서 금융상품을 구입하든, 주택을 구입하든.... 당연히 재화든 금융상품이든 주택이든 이런 것을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도 돈을 쥐게 된다. 당연히 경제는 호황의 확대 재생산이다. 그런데, 경제는 주기가 있기 마련이어서 무한정 호황 사이클이 없다는 것이다. 반드시 불황의 사이클로 내려간다는 것이다. 저자는 지금이 대세 상승의 시기가 아니라 정점에서 하강을 하기 시작한 대세 하락기 - 그것도 급격한 하락 혹은 대폭락 - 로 가고 있다고 말한다.

 

일본의 버블경제 폭락기에서 경험했던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의 대공황이 올 수 밖에 없는 필연을 저자는 설명한다.  일본은 대체로 주식같은 위험한 자산보다는 안전자산인 현금이나 예금등을 선호하며 실물자산인 부동산을 좋아하기 때문에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덜 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다르다. 미국사람 대부분은 주식 혹은 주식관련 상품에 가처분 소득의 대부분을 투자하고 있다.(이 부분은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다. 주식같은 위험한 자산에 그리 많이 투자를 하다니...그러다가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어쩌려구..) 그들은 미국에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전세계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밖에 없다. 미국의 주식폭락, 불황이 다른 나라에 미칠 영향은 상상할 수도 없을 정도이다. 사실 미국의 주식시장이 상승장인 것부터 이상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무역적자에 재정적자인 미국에서 말이다. 일본과 미국의 이자율 차이 때문에 미국 주가가 상승한 측면이 많다고 말한다. 일본은 이자율을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그렇게 되면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 일본에서 빌린 돈의 상환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미국의 주식시장은 하락할 수 밖에 없다는 저자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저자는 이런 시기에도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힘들겠지만 말이다. 그가 우리에게 제시한 방법은 특이하다.

 

20~30대는 워렌 버핏처럼 장기투자를 하라는 것이다. (시세표도 자주 보지 말라고 말한다.) 보통의 재테크 전문가들은 20~30대에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50~60대는 안전한 주식에 장기투자하라고 말하는 데 말이다.

 

40~50대에게 권하는 투자법은 귀 기울일 만하지만 딱히 우리에게 맞는 정서는 아닌 듯하다.

부동산은 총자산의 30% 이내로 하라. 이 방법은 나쁘다는 게 아니고 실현불가능한 듯 보인다. 그저 무리해서 집에 올인하지 말라는 뜻으로 봐도 무방할 듯하다.

 

60~70대에게 권하는 투자법은 더 특이하다.

투자보다는 투기 감각을 가지고, 시간을 100% 활용하라는 것이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으니 오래 보유하는 것이 능사도 아니고, 기회가 왔다고 생각될 때 과감히 투자하는 것도 고려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랬다가 노년에 갖고 있던 돈을 몽땅 날려버리면 누가 책임지라고....

 

저자가 제시한 방법을 모두 따를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무시할 필요도 없다. 다 자기에게 맞는 방법이 있기에 귀기울이면 될 것이다. 저자가 주장한 대로 차트나 기술적 분석보다는 "흐름을 읽어내는 대국관과 트렌드와 타이밍"이 보다 중요할 것이다.

 

그나저나 금값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데, 지금이라도 투자해야 하나는 고려해 보아야 할 듯하다. 투자대상에는 현금성 자산, 주식, 부동산 외에 금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할 것 같다.

 

작년 11월에 모 은행에서 열 몇가지를 추천하면서 상담해 주던 일이 생각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가입을 서두르라고...얼마 전에 또 가니, 이젠 바닥이니 지금이 적기라고... 뭐, 그들의 말이 틀린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전적으로 옳은 것도 아니다. 언제나 모든 금융설명서의 하단 구석에 작은 글씨로 적혀 있듯이, 단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판단은 본인이 하고 책임도 본인이 지는 것이니 말이다.

 

아, 갈수록 돈 벌기가...아니 가진 돈 지키기도 어려운 세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