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이순원 지음 / 뿔(웅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얘야, 첫해의 꽃으로 열매를 맺는 나무는 없단다. 그건 나무가 아니라 한 해를 살다 가는 풀들의 세상에서나 있는 일이란다."

나무의 표지에 나오는 이 구절은 이 책이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이다.

 

어린 시절 살던 집에도 나무가 많았다. 집보다 마당이 더 넓어 왼쪽마당엔 오동나무와 은행나무, 마당 가운데에는 포도나무, 오른쪽엔 앵두나무 그리고 온갖 채소와 머루다래 이런 것도 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어린 시절의 기억은 참 묘한게 항상 나무를 떠올리면 그 집이 생각난다. 그 시절에 보았던 채송화를 발견하면 발걸음을 멈추고 그 꽃을 유심히 보면서 어린 시절의 나를 떠올리게 된다. 그 작은 채송화를 볼때면 늘 '고 작은게 올해도 피었네...예전엔 지천이었던 요놈들이 어디로 가버렸을까?'하는 반가움과 아쉬움을 느끼게 된다.

나무는 이렇게 내 어린시절을 떠올릴때면 자동으로 떠올리게 되는 것 중의 하나다.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와 그리움의 대상인 나무. 내 블로그 이름이도 한 자작나무 역시 김훈작가의 자전거여행과 최상호시인의 시에서 가져왔다.

 

요즘 가을이 한창이다. 노란 은행나무의 잎사귀부터 빨갛게 불타는 나뭇잎들까지...초록에서 노랑으로, 빨강으로 바뀌는 나무를 바라보는 가을이 되면 나도 모르게 사유하게 된다. 인생에 대해서, 한 해가 가고 있음을 느끼며 흘러가는 시간에 대해서, 또 열매 맺는 풍요로운 가을과 새로운 봄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아름답지만 혹독한 겨울을 견뎌내야 한다는 지극히 당연하지만 엄연한 자연의 진리를...이 아름다운 가을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것에 대한 감사함까지.

 

이순원작가의 소설은 띠지의 글처럼 모두가 함께 읽을 수 있는 성장소설이다. 그래서, 첫페이지부터 마지막페이지까지 적어두었다가 곱씹어볼 구절이 많다. 이제 막 열매를 맺기 시작한 어린 밤나무와 세상을 떠날 차비를 하는 할아버지 밤나무의 대화에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배운다.

다른 사람과 별반 다를게 없는 나를 발견하게 되기도 하고, 세상에 휩쓸리지 않고, 중심을 잡아가는 것. 뿌리 깊은 나무처럼 살아가야 할텐데....라는 반성과 다짐을 하게 된다.

 

책에서....

<P.71~72> "그러니 지금이라도 과실나무를 몇 그루 심어놓게. 아이들도 빨리 자라지만, 나무는 아이들보다 훨씬 빨리 자란다네."..."어르신 말씀을 들으면 그렇긴 하지요." 그러나 정작 나무를 얻으러 오는 사람은 없었다...다들 그 사람이 심은 밤나무 숲을 부러워하면서도 그랬다.

 

<P.81>"그런 나무는 없었단다. 그 꿈 때문에 바깥세상만 궁금해하다가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제자리에서조차 밀려난 나무들은 더러 있었지."

 

<P.114>"한 해를 살다 가는 풀이라면 당연히 꽃과 열매에 욕심을 내야지. 하지만 우리 나무는 백 년도 살고 천 년도 사는 몸들이란다. 오래 살며 열매를 맺자면 우선 제 몸부터 튼튼하게 만들어야겠지. 네 몸이 어느 정도 자랄 때까지는 꽃보다는 줄기와 잎에 더 힘을 써야 하는 게야."

 

<P.146>"우리 나무의 뿌리는 우리 몸에 대한 이해와 땅에 대한 이해만큼 깊어지고 넓어진단다. 그리고 우리 몸은 개똥참외처럼 저마다의 뿌리만큼 든든하게 자라는거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