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화원 2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팩션소설을 읽을 때는 작가가 역사속의 인물과 함께 차용한 사실의 범위가 어디까지인가를 염두에 두게된다. 작가의 상상력은 어디까지일까? 어디까지를 사실로 받아들여야 할까? 사실로 받아들이기엔 충격의 강도가 아주 세다. 그렇다고 작가의 상상으로 받아들이기엔 사실인 것처럼 그럴 듯하다.
사도세자의 초상화가 있을까? 수원성에 고이 모셔져 있나? 신윤복은 정말 여자가 아닐까? 한 번도 의심해보지 않았지만 그럴만도 하다. 그를 떠올릴 땐 '기생을 주로 그리는, 언제나 여인을 그리는 화가'이다.
정말? 작가의 반전을 전혀 예상치 못했다. 전혀다. 설마? 정말일까? 바람의 화원 2권을 읽으면서 든 첫번째 반응이다. 그리곤 혹 그럴지도 모르겠다 생각했다.
전편 뿌리깊은나무에서처럼 바람의 화원도 역시 작가의 상상력은 소설과 역사적 사실을 잘 조화시켰다. 뿌리깊은나무는 추리소설같은 느낌이 강했다면, 바람의 화원은 추리적인 면보다는 두 화가의 예술적인 대결과 인간적인 관계가 더 두드러진다.
조선의 대표화가인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에 대한 열정과 사랑, 그리고 이산 정조대왕. 옛 것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고 하는 세 사람의 모습과 지금의 것을 고수하려는 기득권세력의 한판대결이 작품전반에 어둡게 드리워져 있다. 옛 것이 다 타파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듯, 새 것이 다 수용해야 되는 것도 아니다. 양쪽에서 이로운 것은 받아들이고, 버려야 할 것은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그렇지만 그게 내 존재기반을 송두리째 뒤흔들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은 기존의 것이 비록 버려야 할 것이더라도 목숨을 걸고서라도 지켜야하는 그 무엇이 되는 것이다. 그 소용돌이 속에서 바람처럼 사라진 천재화가 신윤복을 그리며 단원의 시각에서 쓰여진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제목에 단원과 혜원의 그림은 아주 많이 다르다. 같은 제목의 그림이 실제로 있는 것을 보면 작가의 이야기가 아주 허황되지는 않은가보다. 간결하고 단순하지만 남성의 힘을 느끼게 해주는 단원의 그림과 섬세하고 우아한 혜원의 그림. 정말 혜원은 여자가 아니었을까? 여자가 화원이 될 수도 없었고, 색채또한 다양하지 않았던 그 시대에 혜원의 그림은 지나치게 화려하며, 언제나 항상 여인이 등장하니 말이다. 그림 속의 인물과 동작은 너무도 정교하고 세밀하여 지금이라도 그림 밖으로 나올 것처럼 느껴진다. 작가의 세세한 설명 덕에 단원과 혜원의 그림을 꼼꼼히 보게된다. 풍부한 표정과 몸짓하나로 표현되는 그들의 그림은 과연 천재화가답다.
바람처럼 사라질 수 밖에 없었던 혜원. 그런 혜원을 차마 잡을 수 없었던 단원의 안타까움. 그 후회와 회한을 표현한 단원의 독백은 그래서 아리다.
책에서<p.261>,
그녀는 바람의 화원이었다. 바람처럼 소리 없고, 바람처럼 서늘하며, 바람처럼 자신을 보여주지 않았다...그녀는 바람이었고 나는 그녀가 흔들고 간 가지였다.
한때의 나는 별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 빛은 스러지고 뜨거움은 식었다. 빛을 잃고 뜨거움을 상실한 별은 별이 아닐 것이다. 별은 빛나기 위해 존재하니까...
하지만 그녀는 벼락이었다. 벼락은 사라져도 여전히 벼락이다. 한 순간의 섬광을 뿜어내고 어둠 속으로 사라지지만 그 빛을 본 자는 눈이 멀 것 같은 강렬함을 오래오래 기억할 것이다.
그녀의 그림은 내 눈을 멀게 했고 그녀가 뿜어낸 빛은 내 마음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그것은 축복이었을까? 재앙이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