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궁 안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연쇄살인사건. 피살자는 집현전 학사들. 단순살인사건이 아니다.

계속되는 살인사건은 나라의 존립자체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금서 '고군통서'의 행방을 둘러싼 목숨을 건 사투이다. 대중화를 비판하고, 자주적인 조선이 될 것을 강조하는 고군통서는 조선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금서. 고군통서를 지키려는 작약시계의 집현전 학사들과 그것을 찾아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경학파의 치열한 전투이다.

 

이 대단한 사건을 말단 검사복 강채윤이 맡는다. 어린 짐승처럼 부서질 듯 여리지만, 어린 사자 새끼처럼 길들여지지 않아서 무모해 보이기까지 한 채윤.

책의 띠지에 적혀 있듯이 다빈치 코드와 장미의 이름에 필적할 만한 소설이라는 자신감 어린 소개가 붙은 이 책. 다빈치 코드에선,랭던 교수와 박물관 관장의 손녀이자 경찰인 소피가 함께  사건을 풀어가고, 장미의 이름에선 해박한 윌리엄수도사와 어린 수사 아드소가 있다.

그러나, 뿌리깊은 나무에선, 학문에 조예가 깊지도 않으며 한자도 다 깨우치지 못한 햇병아리 검사복 채윤만 있을뿐이다. 그래서, 더 무모해보였던 이 소설은 어린 사자같은 채윤이 홀로 -거대한 몸통과- 시대를 통째로 갈아엎을 수도 있는 무모한 싸움을 감당해 낸다. 때론, 냉철하게, 때론 무모하게...

 

이정명 작가가 만들어낸 창작물은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부터가 허구일까?

작가가 그려낸 이야기는 사실처럼 느껴졌다. 정말로 그러지 않았을까?

이제 막 개국한 조선이, 자신만의 언어를 갖는다? 명의 입장엔선 얼마나 괘씸한가. 명뿐만 아니라, 중국을 대중화로 조선을 소중화로 생각하는 경학파들에겐 받아들일 수도 받아들이기도 어려운 사건이다. 한글창제를 둘러싼 목숨을 건 싸움은 소설이 비록 허구이더라도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수긍하게 된다. 지금  내가 말하고 쓰고 있는  한글을 만들기 위해 그들은 정말 목숨이라도 걸었을 것 같았다. 비록 소설이 허구이더라도, 지금 쓰고 있는 서평을 한자가 아닌 한글로 쓸 수 있음을 우선 세종대왕에게 "전하, 성은이 망극하옵니다."라고 해야겠다는 생뚱맞은 생각을 했다.

 

좀, 딴지를 걸자면, 그 어마어마한 연쇄살인사건을 어리디 어리고, 학식도 뛰어나지 않은 애송이 채윤이 해결했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했을까 하는 것이다. 말 못하던 소이가 한글을 배워 말을 할 수 있게 된 것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칭찬을 하고 싶은 것은 대체로 무겁고, 사상적인 것에서 좀체로 벗어나기 어려웠던 한국소설에 새로운 방향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또, 가독성도 뛰어나 재미도 있고...

한글을 아끼고 사랑해야겠다는 애국심 비슷한 감정도 불끈 솟아오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