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유명한 책을 드디어 읽었다.

허삼관의 매혈기. 말 그대로 허삼관의 피 파는 인생을 쓴 책이다.

부자가 피를 팔 일도 없고, 헌혈을 통한 선한 일도 아닐 터, 분명 칙칙한 인생 이야기일게 뻔하다 생각하고 책을 들었다.

칙칙하고 구질거리는 이야기 맞다.

그러나, 슬픔이 있지만 거기에는 슬픔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뜻밖에도 웃음과 희망이 있었다.

 

1장에 나오는

 "오늘에서야 피땀 흘려 번 돈이 어떤 거라는 것을 안 셈이지요. 제가 공장에서 번 돈은 땀으로 번 돈이고, 오늘 번 돈은 피 흘려 번 돈이잖아요. 이 피 흘려 번 돈을 함부로 써 버릴 수는 없지요. 반드시 큰 일에 쓰도록 해야지요."

허삼관의 이 말은 그가 인생 구비구비 어려운 고비때마다 헤쳐나올 수 있는 동아줄이 된다.

특히, 친아들도 아닌 일락을 위한 삼관의 목숨을 건 매혈의 여정은 - 작가는 아무렇지도 않은 듯 써 내려갔지만 - 감동이었다.

 

허삼관은 무식하지만 현명하다.

아내 허옥란이 자식들에게 자아비판을 받아야 했을 때에도 그는 부정한 그녀와 자신은 똑같이 부정하며, 누구나 실수할 수 있다며 아이들을 설득하는 장면에서는 그가 참 훌륭하다고 생각했다.

 

가난하지만 평범한 개인 허삼관의 인생은 또한 중국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는 민중의 대변이기도 하다.

-아래의 경제학 콘서트에 의하면- 마오쩌둥의 잘못된 농업정책으로 최소 1천만~6천만명이 아사했다고 한다. 

그 힘든 시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원천이 허삼관에게는 매혈이었다.

가난하고 무식하지만, 가족을 사랑하고, 그들을 위해 희생하는 삶을 당연하게 여기는 모습은 정말 우리들의 부모와 너무도 똑같다.

그래서인가, 지독한 가난 속에서 부를 이루어 낸 나라가  한국과 중국계 나라들이다.

 

그런 허삼관이 나이 들고 처음으로 억울하다는 생각을 한다.

자신을 위해 처음으로 매혈을 하려 하지만, 이미 늙은 그의 피를 원하는 곳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슬프다. 이젠 자신이 쓸모없는 노인이된 사실이 서럽다. 

자식들은 그걸 알아주지 못하고, 그런 그를 위로하는 건, 평생 동고동락한 그녀의 부인뿐이다. 

참 씁쓸하고, 인정하기 싫지만, 세아들의 모습에 나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오랫만에 좋은 소설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