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모 ㅣ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모모는 철부지 모모는 무지개 모모는 생을 쫓아가는 시계바늘인가?...
이런 노래를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흥얼거렸던 적이 있었다.
근데 그 모모는 소설책의 제목이고 주인공 소녀의 이름이었다.
이런 나만 몰랐나?
모모는 다른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일줄 아는 소녀다.
모모는 자연의 소리에도 귀를 기울인다.
모모는 어리지만 참 소박하고, 특별하고 사랑스런 아이다.
다툼이 있을 때,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이 말 한마디면 되었다.
'아무튼 모모에게 가봐'
그러나 모모는 아무것도 해준 게 없다. 충고도 하지 않는다.
그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한다. 모모 앞에만 가면 정직해지고, 하고 싶은 말을 하게 되고, 그들의 말을 모모는 아주 진지하게 들어준다. 그뿐이다.
그래서 가난한 그 동네는 평화가 있고, 소박하지만 기쁘고 행복하다.
그러나 어느때부터인가 사람들은 모모를 찾지 않기 시작한다.
너무 바빠서....
시간도둑인 시가를 문 회색신사들 때문이다.
그들은 제시한다.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시간을 저축하면 나중에 이자를 쳐서 돌려준다.
그래서 사람들은 시간을 저축하기위해 바쁘게 산다.
친구도 덜 만나고, 잡담도 하지 않고, 꽃에게 인사하지도 않고 느리게 사는 걸 악으로 생각한다.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많은 것들이 생겨나고, 제도들이 생겨나고....그러나 사람들은 이제 행복하지 않고, 왜 바쁘게 사는지도 잊은채 바쁘게 산다.
바쁘게 살지만 늘 시간이 부족하다.
회색신사들은 점점 더 많이 사람들의 시간을 빼앗는다.
이젠 아이들조차도 놀 시간이 없다. 정해진 탁아소에서, 정해진 룰과 게임, 장난감으로 놀아야 한다. 뭔가를 배워야 하는 놀이만 할 수가 있다.
뭔가를 배우지 않는 놀이는 나쁘다.(엄마로서 무지 반성, 나 벌써 내아이에게 뭘 가르치기 위해 열성이다..)
모모는 청소년을 위한 소설이지만, 나는 읽는 내내 무서웠다.
내가 그렇게 살고 있기 때문이고, 내 아이를 그렇게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서 너무 많이 '나'를 만났기 때문이다.
작가 후기에 이런 말이 나온다. 이 일은 과거에 생긴일 일수도 미래에 생길 수도 있는 일이라고.....
소설을 읽는동안 내내 마음이 불편했다. 그래서, 윤동주님의 '별헤는 밤'으로 위로받고 싶다.
모모를 읽으면서 머리 속에서 떠나지 않던 시였다
몇 년만에 읽어보는지...
.........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오,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오,
아직 나의 청춘이 다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憧憬)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를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佩),경(鏡),옥(玉) 이런 이국소녀들의 이름과,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쟘,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봅니다
.....
이렇게 별 하나 하나에 이름을 붙이며 그리워하는 마음을 난 너무 오랫동안 잊고 살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