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시골의사란 필명을 알게 된 것은 그가 아주 유명한 증권계의 고수라는 데서 부터다. 그래서, 책도 아름다운 동행보다 시골의사의 부자경제학을 먼저 읽었다. 그동안  시골의사의 블로그를 기웃거리며, 웃기도 했고, 가슴아픈 사연에 눈물짓기도 했으며, 그의 독서록을 꼼꼼히 읽기도 했다. 시골의사를 좋아하는 한사람이라고 해도 좋을 듯 싶다.  좋은 글들을 눈으로만 읽기가 아까웠다. 내 책장에 꽂아두고 가끔 열어보고 싶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동행을 사지 못하고 1년넘게 주저했던 부분은 역시나 치매에 걸린 어느 할머니의 가슴아픈 사연때문이다. -이 내용을 미리 알고 있었기에 도저히 읽을 자신이 없었다. 알고 있었던 내용이더라도, 그 기막히고 어이없고 가슴아픈 사연 앞에서 또 가슴이 답답했다.

 

그의 글 실력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밤을 세워가며 눈이 퉁퉁 붓도록 울면서 읽을 줄은 몰랐다. 신파가 곁들여 진것도, 시골의사의 글은 격하지도 않은데 자꾸만 눈물이 났다.  가난한 우리 이웃의 가슴아픈 사연에서 눈물이 났고, 환자를 살리느라 애쓰는 의사의 글에 눈물이 났다.

사경을 헤매는 아들을 두고 아픈 사람을 고치러 가야하는 의사 아버지의 아픔에 울컥했고, 이미 숨이 멎은 아들을 들쳐메고 온 소방관인 아버지의 모습이 아팠으며, 염산을 먹을 수 밖에 없었던 꽃다운 소녀의 이야기가 아팠으며, 먼저 간 아이를 어쩌지 못해 그 아이를 따라갈 수 밖에 없는 모성이 아팠다. 다리를 절단할 수 밖에 없었던 27 처녀의 아픔과 다리 하나만 드러나는 미니스커트를 입고도 환하게 웃던 모습에서 가슴 울컥한 감격이 있었다.

 

사실, 나도, 우리 딸아이의 수술을 경험한 터라, 그 이야기들이 다 남의 이야기처럼 느껴지진 않았다.  우리 아이가 입원했던 소아병동의 6층은  소아암병동이다.  가끔 같은 엘리베이터 안에서 6층의 어린 환자와 부모를 만난다. 그때의 그 느낌은 아직도 잊혀지지가 않는다. 아이의 1주일 입원도 감당하기 힘든 아픔임을 알기에, 그 아이 부모의 마음은 어떨지...

아이가 아프기 전엔, 다른 엄마들처럼 어떻게 공부를 시킬까, 무엇을 가르칠까, 어떤 유치원을 보낼까를 더 고민했었다. 아이가 입원을 하고 수술을 하면서 그런 생각들이 다 부질없게 느껴졌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잘 자라주는 것만큼 중요한게 없다는 사실과 그저 아무 탈없이 잘  자라주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지...

그게 일 년전인데, 사람은 또 얼마나 잘 잊어버리는지, 어느새 그때의 애잔함도 절박함도 다 잊어버렸다.  가슴아픈 사연들을 읽으면서, 삶의 의미와 감사하며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시골의사의 가난한 환자들이, 사경을 헤매는 많은 이들이 모두다 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를 꿈꿔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