푼돈의 경제학 - 삶을 바꾸는 작은돈의 기적
장순욱 지음 / 살림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우리 카페에서, 새책이라며 이벤트 서평을 한 것이 얼마 전인데, 어느새 1+1의 덤으로 주는 책이 되었다.  

 

그래도, 내용이 궁금했다.

책에서 강조한, 푼돈의 대표주자 세가지. 담배, 커피, 택시비.

물론, 나에게 가장 약한 부분은 커피다. 어느날, 인터넷에서 별다방, 콩다방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된장녀라고 하더라는 말을 남편에게 한 적이 있다. 남편왈, 바로 너네. 라고 할 정도로 나는 별다방 콩다방을 자주 이용한다. 점심 먹고 친한 친구(물론, 아줌마다)와 가끔 마시기도 하고, 남편과 커피와 케잌을 주문해 놓고 수다를 떨기도 한다. 그 커피를 줄이라고 줄기차기 말하는 저자의 말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커피 한 잔의 가격으로 행복한 수다를 떨었다면 어느 게 더 효용이 큰 것일까를 생각해보기도 했다.

 

외국 생활을 하면서, 가장 관리가 어려운 부분은 역시나 푼돈이다. 아직도 원으로 계산될 때의 느낌과 같은 가치이지만 달러로 표시되는 금액은 다르게 다가온다. 또한, 적금이란게 한국처럼 발달되어 있지 않으니, 한푼 두푼 아껴서 작은 금액을 불려나가는 재미도 잃어버렸다. 그래서인가 푼돈에 대해 많이 무뎌졌다.  사실 몇 푼 아끼는 것보다, 환율이 좋을 때를 눈여겨 보았다가 재빠르게 송금을 하는게 나에겐 더 큰 재테크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작은 돈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살아온 나에게 그러면 안된다고 작은 경고의 종을 울려준 것. 이 책을 읽고 얻은 가장 큰 소득이다. 그럼, 무엇을 줄여야 하나? 애석하게도 커피가 첫번째이다(줄여질지는 모르겠다^^;;). 아이에게 사주는 비슷한 장난감들..정도일 것이다.  

 

작가의 글 중에 그래도 공감이 가는 것은, 담배 값을 아껴서, 커피 값을 아껴서, 두세정거장을 걸어서 버스비를 아끼는 것이 아니라, 작은 돈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일 것이다. 복권당첨처럼 쉽게 들어온 돈은 쉽게 나갈 확률이 높다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푼돈을 차곡차곡 모아서 목돈을 만들었다면, 그 돈은 복권당첨등으로 받은 돈과는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그 과정에서 돈에 대해 남다르게, 인내하고 절제하는 것과 같은,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게 푼돈의 경제학이리라.

 

나에게 낭비라고 생각하는 소비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그건 아마도 복권을 위한 소비일 것이다. 커피 값은 동의할 수 없지만, 복권을 사는 행위는 올바른 소비가 아닐 것이다. 확률적으로 계산해도 당첨될 가능성이 거의 제로에 가까울테니 그돈은 정말 아까운 돈이다. 1/2의 확률도 어려운데 몇 만 혹은 몇 십만의 확률을 바라고 복권을 사는 돈은 얼마나 아까운가? 

 

대박을 바라지도, 요행을 바라지도 않은면서 성실하게 한 발 한 발 우직하게 나가자고  주장하는 작가의 글은- 여러번 반복되어서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았지만 - 소비가 미덕이고, 한방을 믿는 사회로 가는 분위기에선, 귀담아 들을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걸 배웠다면, 이 책은 푼돈을 아껴서 구입할 가치가 충분한 걸까? 그것까지는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