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저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마도 나는 하루키를 지독히도 싫어하나보다. 별점을 하나만 주었다.

내 손으로 하루키 책을 사보지도 않았는데, 3권이나 읽었다. 이런 저런 이유로 모두 소장하고 있다.

친구가 권해준 상실의 시대를 읽었을 때는 실망했다기 보다는 좋은 책인데, 나와는 맞지 않으니 앞으로는 찾아서 읽을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을 했다.

 

두번째로 읽은 해변의 카프카 - 비호감 작가인지도 모르고 남편이 사다주었다 -는  가독성은 떨어지지 않으니 읽을만은 하다였지만, 역시 하루키는 나와는 맞지 않는 작가다라는 생각을 더욱 하게 된 책이다.

 

그런데, 1년쯤 전에 남편이 '또' 하루키의 책인 어둠의 저편을 사왔다. - 이때는 대놓고 지청구를 조금 했다..싫어하는 작가라니까 또 샀어? 하면서 말이다.

이 얇은 책을 읽는데, 1년이나 걸렸다. 어둠의 저편은 몇 번이나 시도를 해도 진도가 나가지 않는 이상한 책이다. 책을 잡으면, 끝장을 보고야 마는 내가 어둠의 저편은 앞의 첫 장을 5번도 더 읽었다. 1년이나 들었다 놓았다를 했으니, 지금까지 읽은 책 중에 가장 오래 걸렸다.

 

어둠의 저편이 나에게 다가오지 않는 첫번째 이유는 제목이 주는 괴기함때문이다.

해변의 카프카를 읽었을 때의 당혹감을 아직도 갖고 있던터라, 어딘가에서 툭 튀어나올지도 모를 정체불명의 괴물이 나오는 이상한 스토리가 아닐까하는 불안감 때문에 집중을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하루키를 신뢰하지 못하는 내 탓이기도 하다. 그러나, 어쩌랴, 하루키는 내 취향이 아닌 것을...

 

그나저나, after dark를 왜 어둠의 저편이라고 했을까...꼭 괴물이 나올 것 같잖아!

덧붙이자면, 에리가 잠자고 있는 장면에서 TV를 통한 소통은 영화 '링'에 나오는 tv를 빠져나오는 귀신이 생각나서 얼마나 오금저리던지...저 제목만 아니었다면..편하게 읽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혹평(작품에 대한 것인지, 작가에 대한 것인지...)을 해댔으니, 하루키 매니아들에게 집중 공격을 받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