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직 사서삼경을 읽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강의를 읽는 내내 죽을 맛이었다. 듯도 하고, 모를 듯도 책을 거의 달반을 끌면서 읽었다. 이만하면 인간승리다.

읽어보지 못한 내용 전체를 권으로 끝내려는 자체가 무리였다.특히나, 주역과 노장자에서 얼마나 많이 헤매고 돌아다녔던지..마지막 강의를 마치면서의 내용(불교편) 좌절의 연속이었다.

 

읽고 느낌이 '머리가 멍하고, 내가 무엇을 읽었는지 모르겠다'이다.리뷰를 쓰기 위해서, 서론을 다시 읽었다.

 

신영복교수님이 강의를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것은 자구의 해석은 아니다. 여기서 위안을 삼는다.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조망함에 있어서, 고전을 돌아보고 반성하자는 것이다.

 

미래는 어디에서부터 온다고 생각하느냐는 저자의 질문과 답에 적이 놀랬다.

저자는 ‘미래는 과거로 부터 오는 것입니다. 미래는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로부터 오는 것입니다. 변화와 미래가 외부로부터 온다는 의식이 바로 식민지 의식의 전형입니다. 권력이 외부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곳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오기 때문입니다. 부분이 가장 충격이었다. 나는 지금까지 미래는 미래에서부터, 3 물결을 타고 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알게 모르게 역시도 확장주의적인 서구사상에 젖어 있었다는 반증이다.

사실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해 감에 따라 동양적인 것들의 의미가 쇠퇴해가고 있다. 서구적인 것들이 더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나도 거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시경, 주역,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법가는 모두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면서 만들어진 사상들이다. 왜, 어지럽고 시끄러운 난세 중에 이런 사상들이 생겨났을까. 이러한 사상이 어떻게 생겨나서 발전하고, 쇠퇴해갔는지 그 배경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책에 나온 글들은 말그대로 고전이다. 기원전에 만들어진 사상들이 요즘의 시대에서도 제대로 읽히니 그게 참 놀랍다.

 

저자가 책을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관계이다. 인간은 인간과의 관계를 통해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서구사상이 개인의 존재를 강조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저자가 설명한 ‘덕불고 필유린’이 있다. 덕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 저자의 정치철학이기도 하다. 삶은 관계를 통해서 형성되며, 정치에서도 민중과 접촉하여 관계를 쌓아가야 하는 것이라 강조한다.

 

중학교1학년 한문시간에 배워서 아는 ‘학이시습지불역열호아 유붕자원방래불역락호아 인부지이불온불역군자호아’ 이 부분을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자구의 의미대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냥 늘 배워야하고,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니 반갑다는 의미만은 아니라는 것이다.그 당시의 시대배경에서 학습과 붕의 의미는 지금과 다르다는 것이다. 노예가 존재하던 시대에서 학습은 신분상승의 수단이 될 수 없었다는 사실과 학습은 실천의 의미로 읽어야 한다는 부분과 계급사회에서의 친우는 계급을 뛰어넘는 새로운 인간관계임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 이 학습과 붕에서 새로운 사회 재편이 있을 것이라는 암시를 읽어내야 한다는 저자의 설명은 자못 놀라웠다.

 

순자편에 나오는 난세의 징조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현실과 비교해도 별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난세의 징조는 그 옷이 화려하고, 그 모양이 여자 같고, 그 풍속이 음란하고, 그 뜻이 이익을 좇고, 그 행실이 잡스러우며, 그 음악이 거칠다. 그 문장이 간사하고 화려하며, 양생에 절도가 없으며, 죽은 이를 보내는 것이 각박하고, 예의를 천하게 여기고, 용맹을 귀하게 여긴다. 가난하면 도둑질을 하고, 부자가 되면 남을 해친다. 그러나 태평 시대에는 이와 반대이다.’

 

전부를 다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강의를 통해서 기존의 고전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고전을 통해서 현재를 비판하고 반성해서, 내부에서부터 오는 미래를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저자가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리라. 저자가 말한대로 미래로 가는 길은 어쩌면 오래된 과거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지도 모를 일이다. 과거가 없는 현재가 없고, 현재가 없는 미래가 없듯이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연장선에서 다같이 더불어 사는 길로 걸어가는 것이 미래여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