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폰 잔폰 짬뽕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 / 주영하 / 2009년 10월 15일


 
위 : 나가사키 시카이로의 잔폰 / 가운데 : 한국에서 화상이 운영하는 중국음식점의 짬뽕 / 아래 : 나가사키 시후 중국음식점의 자장멘
 


경계를 넘나드는 음식(나가사키 잔폰과 화교 음식의 확산) 

 

최근, 한국의 짬뽕이 나가사키의 시카이로라는 중국식당에서 유래했다는 정보를 알고 있는 한국인들이 제법 늘었다. 인터넷 웹사이트를 검색해 보면, 직접 그 현장에 다녀와서 사진과 감상의 글을 올려놓은 사람들도 있다. 아마도 지금의 ‘시카이로’식당 2층에 마련된 ‘잔폰박물관’ 때문에 그 역사성이 널리 퍼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중략
 
‘잔폰’이란 이름이 개업 초기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당시에는 ‘잔폰’이 아니라, ‘시나우동’ 이었다. 여기에서 ‘시나’은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차이나’의 일본식 한자에서 유래한다. 그런데 1910년대에 들어와서 어느 순간 ‘시나우동’이란 이름과 함께 ‘잔폰’이란 이름으로도 불리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사실 ‘잔폰’이란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그중 하나가 일본어 ‘잔폰’에서 나왔다는 주장이다. (잔폰 : 뒤섞이거나 번갈아 하는 일을 가리키는 형용사) 또 다른 주장은 푸젠(福建)의 발음으로 ‘츠판(밥을 먹다)’이 ‘차폰’혹은 ‘소폰’으로 발음되는데, 그것이 ‘잔폰’의 발음과 거의 유사하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이 이 음식을 즐겨 먹자, 중국인을 대표하는 음식이라고 여긴 일본인들이 그들의 인사말인 ‘차폰’을 흉내 내어 음식 이름으로 파용했다는 주장이다.
 
중략
 
1910년 조선이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이후, 조선에 살던 화교들은 일본 본국에 살고 있던 화교들과 같은 정치경제적 영역에 포섭되었다. 더욱이 일제가 조선을 교두보로 중국을 침략할 준비를 하는 동안, 조차지였던 상하이는 나가사키를 통해서 일본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렇게 조선의 화교와 일본의 화교는 1945년까지 일제라는 동일한 정치경제적 영향권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한국의 중국식당에서도 다쿠앙이 무료로 나온다. 심지어 한국식 자장면이 나가사키의 중국식당에서 판매된다. 자장면은 분명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의 화교들이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들이 나가사키의 화교들과 연결되면서 한국식 자장면이 일본으로 넘어갔다. 그 대신에 잔폰이 한국으로 들어왔다. 이 모두가 일제 아래에서 한반도와 일본의 화교가 공생을 길을 걸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