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메디치 WEA 총서 4
김시덕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김시덕 저

지난 번에 '코리아 생존 전략'을 읽고 나서 이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리디에서 구매한지 거의 1년이 되었지만 어쩐지 기회가 없었다.

'코리아 생존 전략'에 대한 오석태님의 서평에서 이 책이 언급된 것이 가장 큰 이유이기도 했지만, 제목 부터가 '해양'과 '대륙'의 대결 구도에서 '코리아 생존 전략'과 비교가 될 것 같았다.

읽어보니,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지만, 몇가지 공통점이 있었고, 그런 점으로 인해 큰 그림에서는 비슷한 책이라는 생각이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공통점은 우리나라 중심으로 역사를 보는게 아니라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서 주변국의 입장에서 큰 흐름을 봐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 분모가 있다.

이 책에서는 임진왜란을 모든 새로운 변화의 시작으로 상정한다. 그 전에는 한반도가 그렇게 지정학적으로 중요하지 않았고, 대륙의 중화제국의 변방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러나 전국시대의 혼란을 끝낸 통일 일본이 등장하면서 동아시아의 지형도는 크게 바뀌었고, 그 여파는 결국 청나라의 등장과 명나라의 멸망을 비롯해서 타이완의 역사도 격변을 겪었고, 결과적으로 청나라에 의한 조선 침략이라는 결과까지 나았다 한다.

해양세력으로서의 일본의 위상은 17세기 이후 서구 세력의 진출로 인해 더욱 강화되었다. 네덜란드와 러시아, 미국 등과의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서 세계의 흐름을 파악한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쳐서 성공적으로 근대국가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반면, 그런 접촉에서 시기적으로 뒤졌던 조선은 강성해진 일본과 여전히 영향력을 끼치고 싶어하는 청나라와의 사이에서 긴장이 고조되는 시기를 준비가 덜 된 채로 맞이한 셈이 되었다.

이런 흐름에서 조선의 사람들이 해외의 흐름을 볼 수 있었던 몇가지 사례들을 발굴해서 보여준다. 17세기말 동아시아 정세가 안정이 되었을때이다. 문순득이란 사람이 제주도에서 표류해서 오키나와에 떠내려갔다가 필리핀, 마카오, 북경을 거쳐서 귀국하는 이야기가 있다. 거의 3년에 걸친 대장정이었다.

이 분의 보고들은 바가 당시 조선 사회에서 큰 반향을 못 일으켰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놀라운 바가 있다.

문순득은 당시 일본, 오키나와, 필리핀, 마카오 등이 참여하는 거대한 무역망의 흐름을 타고 귀국한 것이었다. 그 무역망에는 네덜란드 등의 서구 제국도 참여하고 있었고. 일본의 은과 도자기는 그러한 무역망을 타고 결국 유럽에까지 수출이 되었겠지.

당시 조선은 세도정치 논쟁이나 하고 있지 않았을까.

이렇게 저자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동아시아의 역사의 흐름 을 그려낸다.

그러면서 19세기말의 일본 사회가 얼마나 집요하게 한반도 진출의 의지를 가지고 있었는지 애기한다. 일본 정도 되는 강국이 그렇게 집요하게 부딪혀 온다면, 일본에 비해서 인구도 부족했고, 지리적 위치로 인해 서구와의 교류도 늦어서 준비도 덜되었던 조선이 어차피 견디어낼 수는 없었을 것이라 한다.

조선이 힘없이 무너진 것처럼 인식이 되고 있지만, 일본군 스스로의 통계로도 1905년의 을사늑약 이후 일본군과 전투했던 의병의 숫자가 14만명이 넘는 다고 한다. 그 중에 1만 7천명 이상이 일본군에 의해 죽었다 한다.

이러한 기술은 최근에 출간된 황태연 교수의 '갑진왜란과 국민전쟁'외 2권에서 얘기한다고 들은 것과 상통한다.

그냥 힘없이 무너진게 아니라, 저항의 과정이 있었지만, 워낙 일본이 강했고, 조선은 준비가 부족했다는 것. 조선 내부의 개혁, 자강 노력을 초월하는 거대한 힘의 흐름이 조선 위를 덮었다는 것.

일본은 청일전쟁, 러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면서 세계의 열강으로 인정을 받았을 정도로 강했었다.

아니러니하게 러일전쟁의 승리가 일본 사회의 폐쇄적, 상명하복의 특징과 맞물려 결국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 되었다고 한다.

1945년의 종전과 해방, 그 이후의 국가 수립 및 한국 전쟁에 까지 이르는 역사를 다루는 길지 않은 챕터에서 저자는 당시에 성립된 한국과 일본의 정치 체제의 성격이 어떻게 현재에까지 이어지는 지 얘기한다.

'코리아 생존 전략'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부분들이 있는데, 넓은 시각을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한다는한다는 점에서 서로의 차이점이 상호 보완 관계가 될 것도 같다.

이 책까지 읽고 나니, 메이지 시대의 일본이 궁금해 진다. 
관련 책을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