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순수의 시대 열린책들 세계문학 77
이디스 워튼 지음, 고정아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순수의 시대>는 오래 전에 영화로 그 이름을 먼저 들었던 원작이었습니다.
감독이 무려 마틴 스콜세지 (참 오랫만에 기억해본 이름이네요). 배우들은 다니엘 데이 루이스, 미셀 파이퍼, 위노나 라이더 등. 배우들의 이름이 참 추억 돋습니다. 미셀 파이퍼가 마담 올렌스카, 위노나 라이더가 메이. 1993년 작이니 22년전 영화군요. 

근데, 전 이영화를 안 봤더랬습니다. 원작을 몰랐던 탓이기도 하지만, 그 무렵 영화를 볼 시간이 없을 정도로 엄청 바쁘게 뭔가 하던 때였네요.

소설은 1부와 2부로 나뉘었있던데, 1부는 무척이나 지루했습니다. '웃는 남자' 때와 같이 절반을 설정에 할애하는 소설이더군요.

복잡하기만한 가문과 가문의 연계, 그들 사이에서의 복잡하기만한 관습, 전통...

1부 막바지부터 스피드가 나더니 2부는 앞부분에 비해서는 상당히 빠르게 지나가네요.

결론 부분의 세팅은 상당히 뜻밖이었습니다. 


아래 부터는 스포 입니다.
***********************************



뉴랜드 아처라는 인물은, 나름 지적이고, 도전을 좋아하는 자유로운 정신의 소유자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감정적으로도 무척이나 대책없어 보이는 면모를 보이는데, 갑작스러운 사랑에 휩쓸려서 비이성적인 결정을 내리고 그 방향으로 폭주하는 모습은 좀 아니다 싶긴 했지만, 어찌 보면 누구라도 다 그런 면이 조금씩 있기도 할 것 같습니다. 뉴랜드도 참 순수한 사람이지요. 래퍼츠나 보퍼트 등에서 느껴지는 것과는 다릅니다.

메이 웰랜드의 순수함은 전통에 대한 순종적인 충성의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는 뉴랜드 아처를 자신의 남편으로서 유지하기 위해 나름 최선을 다합니다. 사랑을 방해하려 한다라기 보다, 꽉 짜여진 전통과 인습의 세계에서 스스로 살아남기 위한 자신만의 투쟁이었다고나 할까요. 마지막 장면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난 메이의 마음은 그러했던 것 같습니다. 

엘렌 올렌스카도 자신의 감정과 이성에 충실한 모습이어서 당시의 전통과 관습 체계 내에서는 삐딱스러운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엘렌 올렌스카도 어찌보면 또다른 순수한 모습인 것 같습니다. '사심'이 없는 사람이란 느낌이었습니다.

세사람 다 서로 다른 면모의 순수한 모습이 보입니다. 그래서 순수의 시대인가요.

마지막 결론 부분이 인상적이더군요. 30년 뒤의 모습이라니...

이디스 워튼이 50대에 지은 작품이라 그런지, 자기 또래의 얘기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자기와 자기 주변 사람들이 겪었던 20대 때의 일들이 50대가 되어서는 어떻게 생각되고, 어떻게 돌아보게 되는지.

마지막 문단은 다소 놀라왔습니다. 30년뒤의 모든게 다 잘 풀린 듯한 그 화기애애한 분위기 가운데 마지막의 그 서늘함이라니.

두 사람 사이의 30년 전의 격렬했던 감정의 폭풍은 극단적인 방향으로의 행동을 이끌뻔 했을 정도로 강렬했지만, 도리어 30년이 지나서 다시 만나기 어렵게 하는 요소가 되는 걸까요?

마지막 문단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해 많은 가능한 설명들이 머릿 속에 떠올랐지만, (30년의 공백으로 이미 낯선 사람이 되었다 등등) 뭔가 부족합니다. 만나지 않으려 하는 이유는 결국 한가지인 것 같습니다. 30년전의 감정의 폭풍이지요. 지금 잘 굴러가고 있는 각자의 삶에 30년전의 그 폭풍은 큰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당시의 '사랑'이란 감정은 즐거움 보다는 '고통'으로 더 많이 더 자주 느꼈음을 새삼 다시 기억하게 될테니까요. 

그때는 그렇게도 감정적으로 하나가 되려 했지만, 지금은 그 감정의 기억들로 인해 안 만나는게 서로 편한 사이라는 건, 얼마나 큰 아이러니인지 모르겠습니다.

줄거리 상으로는 뻔할 수 있는 로맨스 소설이지만, 이 소설이 가지는 장점은 3명의 주인공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그들을 둘러싼 가족, 사회 구조 안에서 상호 연관되게 그려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3명의 주인공 중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이 속한 가문과 사교계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없었습니다. 엘렌 올렌스카도 자유로운 듯 했지만, 주변의 사람들에 대해 빚진 마음까지 놓아 버릴 수는 없었지요. 그런 구조를 깨고 나가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 깨고 나간 뒤의 생존 조차 힘든 상황에서 결국 주저 앉게 되어 버리는 그럴 정도로 강력하게 사회적 구조가 지배를 하고 있었던 거겠습니다.

이렇게 각 사람을 둘러싼 환경, 각 사람의 개성과 취향, 또는 인격, 그리고 등장인물들 간의 인간적 관계 등이 참으로 예리하고 섬세하게 빚어져 나온 것 같습니다. 

그런 환경 하에서 사람들을 어떻게 반응하고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살아가는 지를 읽으며 느끼는 것. 그게 남는 여운인 것 같습니다.

이런 문학 작품들은 읽을 땐 힘드는데, 읽고 나서는 여운이 참 길어서 읽은 보람이 있습니다.

(2015.09.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