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十一月 過魯 以太牢 祠孔子 上還過沛宮 置酒 悉召故人父老 酒酣 上自爲歌起舞 泣謂沛父兄曰 游子悲故鄕 朕自沛公 以誅暴逆 遂有天下 其以沛 爲朕湯沐邑〈出史本紀〉

황제가 고향을 지나 주연을 베풀어 옛 친구와 웃어른들을 불러 모아 놓고 술이 취하자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그가 부른 노래가 대풍가다.

< 대풍가 > - by 유방
大風起兮雲飛揚
威加海內兮歸故鄉
安得猛士兮守四方
대풍(大風 -> 본인을 말함)이 일어나서 구름을 날렸도다.
해내(海內)에 위엄을 떨치고 고향으로 왔도다!
이에 용맹한 장사를 얻어서 사방(四方)을 지키리라!

○ 上從破布歸 疾益甚 愈欲易太子 張良諫不聽 叔孫通 諫曰 晉獻公 以驪姬之故 廢太子 立奚齊 晉國亂者數十年 秦以不蚤(早)定扶蘇 令趙高 得以詐立胡亥 自使滅祀 此陛下所親見 今太子仁孝 天下皆聞之 陛下必欲廢適(嫡)而立少 臣願先伏誅 以頸血汙地 帝曰 吾直戲耳 叔孫通曰 太子天下本 本一搖 天下震動 奈何以天下戲乎 時大臣固爭者多 上知群臣心 皆不附趙王 乃止不立 〈出史叔孫通傳〉

한 고조가 병이 심해져서 태자를 바꾸고자 하였다. 장량이 간했으나 듣지 않았고 숙손통이 뼈 때리는 말로 간언(태자가 효성스러운데 굳이 적자를 폐하고 태자를 교체한다면 자신은 죽어 목의 피로써 땅을 더럽히겠다)하니 그제서야 자신이 한 말은 농담이었을 뿐이라며 물러선다. 이제 태자 교체책을 더 이상 말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