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담은 목소리보다 목소리의 물질적특징을 더 달라지게 하는 것도 없다. 즉 이중 모음의 울림이며입술소리의 세기가 그 생각의 영향을 받는다. 발성법도 마찬가지다. 베르고트가 말하는 방식은 그의 글쓰기 방식과는 아주 달라 보였고, 또 말하는 내용도 그의 책을 채우는 내용과아주 달랐다. 목소리는 가면 아래서 나오는 것이어서 우리가문체를 통해 발견한 얼굴이라 할지라도 처음 순간에는 알아보지 못하는 법이다. - P219
진정한 다양성이란 바로 현실의 예기치 못한 요소들의 충만함 속에, 모든 기대 밖에 솟아나온 푸른 꽃들로 가득한 작은 가지속에, 이미 꽉 찬 봄의 울타리 속에 있으며, 반면 다양성에 관한 순전히 형식적인 모방은(우리는 문체의 다른 모든 성질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추론할 수 있다.) 공허하고 획일적이며 다시 말해 다양성과는 가장 반대되는 것으로, 이런 모방은 거장들의 작품에서 그것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독자에게 모방자들의 다양성이 있는 듯한 환상을 주거나 그 기억을떠올릴 뿐이다. - P222
가장 훌륭한 작품을 만드는 이들은 가장세련된 환경에서 살고 가장 재치 있는 화술과 가장 폭넓은 지식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갑자기 그들 자신만을 위해 살기를멈추고 자신의 개성을 거울처럼 투명하게 만들어, 비록 현재의 삶이 사회적으로 또 어떤 점에서는 지적인 면에서조차 초라하다 할지라도 그 삶을 거울에 반영하는 자이다. 천재란 사물을 반영하는 능력에서 나오지 반영된 광경의 내적인 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 P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