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食其又說王曰 方今燕趙已定 唯齊未下 諸田宗彊 負海, 岱 阻河, 濟 雖遣數萬師 未可以歲月破也 臣請得奉明詔說齊王 使爲漢而稱東藩 上曰 善 乃使酈生說齊王曰 天下之事歸漢 可坐而策也 王疾先下 齊國可得而保 不然危亡 可立而待 先是 齊聞韓信且東兵 使華無傷, 田解 將重兵 屯歷下 以距漢 及納酈生之言 遣使 與漢平 乃罷歷下守戰備〈出漢書田儋傳〉
○ 韓信引兵東 未度(渡)平原 聞酈食其已說下齊欲止 辯士蒯徹 說信曰 將軍受詔擊齊 而漢獨發間使下齊 寧有詔止將軍乎 且酈生一士伏軾 掉三寸之舌 下齊七十餘城 將軍以數萬衆 歲餘乃下趙五十餘城 爲將數歲 反不如一豎儒之功乎 信然之
【戊戌】信襲破齊歷下軍 遂至臨淄 齊王以酈生爲賣己 乃烹之 引兵東走高密〈出史記信本傳〉
○ 楚大司馬咎 守成臯 項王令謹守勿戰 漢數挑戰 楚軍不出 使人辱之數日 咎怒 渡兵氾水 士卒半渡 漢擊之 大破楚軍 盡得楚國寶貨 咎及司馬欣自剄 漢王引兵渡河 復取成臯 軍廣武 就敖倉食 項羽聞成臯破 引兵軍廣武 與漢相守〈出本紀〉
○ 楚軍食少 項王患之 爲高俎 置太公其上 告漢王曰 今不急下 吾烹太公 漢王曰 吾與羽 俱北面受命懷王 約爲兄弟 吾翁卽若翁 必欲烹而翁 幸分我一杯羹 項王怒欲殺之 項伯曰 爲天下者不顧家 雖殺之無益也
○ 項王謂漢王曰 願與王挑戰 決雌雄 毋徒苦天下之民父子爲也 漢王曰 吾寧鬪智 不鬪力 相與臨廣武間 漢王數羽十罪 羽大怒 伏弩 射中漢王 漢王傷胸 乃捫足曰 虜中吾指 漢王病創臥 張良彊請漢王 起行勞軍 以安士卒 毋令楚乘勝 漢王出行軍疾甚 因馳入成臯〈以上 出史記本紀〉
○ 韓信已定臨淄 遂東追齊王 項王使龍且 將兵救齊 龍且曰 吾平生 知韓信爲人易與耳 寄食於漂母 無資身之策 受辱於胯(袴)下 無兼人之勇 不足畏也 齊楚與漢 夾濰水而陳 韓信夜令人爲萬餘囊 盛沙 壅水上流 引軍半渡 擊龍且 佯不勝還走 龍且果喜曰 固知信怯也 遂追信 信使人決壅囊 水大至 龍且軍 太半不得渡 卽急擊 殺龍且 虜齊王 盡定齊地
○ 立張耳 爲趙王〈出漢書本傳〉
○ 韓信 使人言漢王曰 齊僞詐多變 反覆之國也 南邊楚 請爲假王 以鎭之 漢王大怒 張良, 陳平 躡漢王足 因附耳語曰 漢方不利 寧能禁信之自王乎 不如因而立之 使自爲守 漢王亦悟 因復罵曰 大丈夫定諸侯 卽爲眞王耳 何以假爲 遣張良 操印立信 爲齊王 徵其兵擊楚〈出史記本傳〉
제나라 왕은 역이기의 설득에 항복을 받아낸 후 안심하고 있었다. 이때 한신이 괴철의 말에 따라 제나라를 기습 공격하는 바람에 역이기에게 속았다고 생각한 제나라 왕은 역이기를 삶아 죽인다.
초나라에 군량이 부족해지자 다급해진 항우가 인질로 삼고 있던 한왕 유방의 아비인 태공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항복을 종용한다. 이 때 항백이 태공을 죽인다고 해서 우리에게 득될 것은 없다라고 하여 항우가 태공을 죽이지 않는다.
제나라를 평정한 한신은 제나라 왕을 추격하고 항왕이 용저를 보내 제나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용저는 한신을 얕보았으나 그는 한신의 계책을 당해내질 못했다.
한신이 한왕에게 자신을 제나라의 가왕(임시 왕)으로 삼아달라 요청한다. 장량과 진평이 화가 난 한왕을 제지시키고 그를 지금 당장 힘으로 당해낼 수 없으니 왕으로 삼으라는 간언에 오히려 진왕(진짜 왕)으로 삼겠다 이야기한다. 한신을 제나라 왕으로 삼은 후 그 군대로 하여금 초나라를 정벌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