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戌】三十二年始皇巡北邊盧生入海還因奏錄圖書曰亡秦者胡也始皇乃遣蒙恬發兵三十萬人北伐匈奴收河南地爲四十四縣築長城因地形用制險塞起臨洮至遼東延袤萬餘里威振匈奴

【戊子】三十四年丞相李斯上書曰異時諸侯並爭厚招遊學今天下已定法令出一百姓當家則力農工士則學習法令今諸生不師今而學古以非當世惑亂黔首相與非法敎人聞令下則各以其學議之入則心非出則巷議誇主以爲名異趣以爲高率群下以造謗如此弗禁則主勢降乎上黨與成乎下禁之便臣請史官非秦記皆燒之非博士官所職天下有藏詩書百家語者皆詣守尉雜燒之有偶語詩書者棄市以古非今者族所不去者醫藥卜筮種樹之書若欲有學法令以吏爲師制曰可 

분서를 위해 몰아가는 이사


【己丑】三十五年使蒙恬除直道道九原抵雲陽塹山堙谷千八百里數年不就

○ 始皇以爲咸陽人多先王之宮廷小乃營作朝宮渭南上林苑中先作前殿阿房東西五百步南北五十丈上可以坐萬人下可以建五丈旗周馳爲閣道自殿下直抵南山表南山之顚(巓)以爲闕爲複道自阿房渡渭屬之咸陽以象天極閣道絶漢抵營室也隱宮徒刑者七十餘萬人乃分作阿房宮或作驪山發北山石槨寫(瀉)蜀荊地材皆至關中計宮三百關外四百餘於是立石東海上朐界中以爲秦東門因徙三萬家驪邑五萬家雲陽皆復不事十歲

○ 侯生盧生相與譏議始皇因亡去始皇聞之大怒曰盧生等朕尊賜之甚厚今乃誹謗我諸生在咸陽者吾使人廉問或爲妖言以亂黔首於是使御史悉按問諸生諸生傳相告引乃自除犯禁者四百六十餘人皆坑之咸陽始皇長子扶蘇諫曰諸生皆誦法孔子今上皆重法繩之臣恐天下不安始皇怒使扶蘇北監蒙恬軍於上郡

진시황이 함양의 유생들을 사람을 시켜 알아보니 자신이 백성들을 미혹시키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었다. 이에 유생들을 심문하니 고발당한 모두가 함양의 구덩이에 빠져 죽였다(갱유). 시황의 첫째 아들인 부소를 몽염 장군이 있는 곳으로 쫓아 보냈다.

【辛卯】三十七年冬十月始皇出遊左丞相斯從少子胡亥最愛請從上許之西至平原津而病秋七月丙寅始皇崩於沙丘平臺丞相斯爲上崩在外恐諸公子及天下有變乃秘之不發喪獨胡亥趙高及幸宦者五六人知之趙高乃與丞相斯謀詐爲受始皇詔立胡亥爲太子更爲書賜扶蘇數以不能闢地立功上書誹謗將軍恬不矯正知其謀皆賜死扶蘇自殺胡亥至咸陽發喪襲位九月葬始皇於驪山下

진시황이 서쪽으로 출행한 뒤 평원진에 이르러 병이 나 사망하였다. 외부에서 황제가 붕어했기 때문에 호해, 조고, 이사만 이 사실을 안 채 그 사실을 발표하지 않았다. 세 명은 거짓으로 시황의 서신을 빌미삼아 첫째 아들인 부소가 아닌 둘째 아들 호해를 태자로 삼고 그를 왕위에 옹립했다.


二世皇帝在位三年壽二十四

【壬辰】元年春二世東行郡縣夏至咸陽謂趙高曰人生世間譬猶聘六驥過決隙也吾欲悉耳目之所好窮心志之所樂以終吾年壽可乎趙高曰陛下嚴法而刻刑盡除先帝之故臣更置陛下之所親信則高枕肆志寵樂矣二世然之乃更爲法律務益刻深大臣諸公子有罪輒僇死〈出李斯傳〉

○復作阿房宮盡徵材士五萬人屯衛咸陽

○秋陽城人陳勝陽夏人吳廣起兵於蘄是時發閭左戍漁陽九百人屯大澤鄕勝廣皆爲屯長會天大雨道不通度已失期乃召令徒屬曰公等皆失期當斬且壯士不死則已死則擧大名耳王侯將相寧有種乎衆皆從之乃詐稱公子扶蘇項燕爲壇而盟稱大楚勝自立爲將軍廣爲都尉入據陳〈出陳涉傳〉

陳中父老請立涉爲楚王張耳陳餘曰秦爲無道暴虐百姓將軍出萬死之計爲天下除殘今始至陳而王之示天下私願將軍毋王急引兵而西遣人立六國後自爲樹黨爲秦益敵敵多則力分與衆則兵强誅暴秦據咸陽以令諸侯則帝業成矣涉不聽自立爲王諸郡縣苦秦法爭殺長吏以應涉〈出陳餘傳〉

이사의 사사로운 욕심? 조고는 이를 이용했다.

중단되었던 아방궁 공사를 재개하였다.

진승과 오광이 난을 일으켰다. (진승이 스스로 장군이 되고 진에 들어가서 스스로 초왕이라고 칭하며 나라를 세우고자 했다. 장이와 진여가 육국의 제상이 되어 사람을 모아 세력을 얻는 계책을 내며 이에 반대했으나 말을 듣지 않고 자신의 뜻대로 진행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