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子】 宗室大臣諫曰諸侯人來仕者皆爲其主遊間耳請一切逐之於是大索逐客客卿楚人李斯亦在逐中行且上書曰昔穆公求士西取由余於戎東得百里奚於宛迎蹇叔於宋求丕豹公孫支於晉幷國二十遂霸西戎孝公用商鞅之法諸侯親服至今治彊惠王用張儀之計散六國之從使之事秦昭王得范睢彊公室杜私門此四君者皆以客之功由此觀之客何負於秦哉臣聞太山不讓土壤故能成其大河海不擇細流故能就其深王者不却衆庶故能明其德此五帝三王之所以無敵也今乃棄黔首以資敵國却賓客以業諸侯所謂藉寇兵而齎盜糧者也王乃召李斯復其官除逐客之令卒用李斯之謀兼天下

객을 쫓아버리는 명령을 없애고 이사의 관직을 복직시킴 (하지만 이사는 후에 진나라를 멸망하게 만드는 원인 중의 하나로)


【戊辰】 韓王納地請爲藩臣使韓非來聘韓非者韓之諸公子也善刑名法律之學見韓之削弱數以書干韓王韓王不能用於是韓非作說難孤憤五蠹說林五十六篇十餘萬言

한나라의 힘이 쇠약해지자 한비자가 자주 상소하여 한왕에게 간언하였으나 왕이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己巳】 初燕太子丹嘗質於趙與王善王卽位丹爲質於秦王不禮焉丹怒亡歸

연나라 태자 단이 조나라에 볼모로 있었음에도 왕(진시황)과 사이가 좋았다. 진시황이 즉위하고 태자 단이 진나라에 볼모로 갔는데 진시황은 그를 예우해주지 않았고 단은 화가 나서 돌아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