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부 ~ 이어서

4,5장

전문성의 회로를 구축한 사람들은 전 세계의 견해를 취합할 수 있고, 현지화된 ‘사실들‘을 비교, 시험, 확인하며 상호작용도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이용해 자신들의 전문성을 널리 전파할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전문성의 회로는 얼핏 식민주의를 행한 서구인들의 전유물처럼 보였지만, 알고보면 과학과 전문 지식을 통해 진보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진 지도자와 지식인들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초국적 과학에 대한끌림도 기술적 발전이 앞선 적에 맞서 자기방어를 하려는 의식과, 보편적 과학 프로젝트의 개념에 매료되는 것, 그 두 가지 모두에서 나올 수 있었다. - P1044

초국적 전문인 공동체들에 의존하고 그들의 지식을 습득하는 행위는범세계적 현상으로, 동서양 담론의 경계를 넘어서고 자본주의, 기업주의, 사회주의, 국가주의 (혹은 ‘국력 강화‘가 조금 변형된 것)라 불러도 좋을 정강들 사이의 경계마저 흐리게 한 일종의 ‘공유 개발 프로젝트shared developmentalist project‘였다. - P1045

육지측량과 과학적 작업은 19세기 말 국민국가들의 야망이 전 세계를 알기 쉽게 표현할 방법을 찾던 전문성 담론과 뒤엉키면서 급속도로 늘어났다.
광범위한 삼각측량에 수반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정부뿐이었고, 체계화되고 단일한 통계적 지식 개발에 강한 흥미를 보이는 것도 국민국가뿐이었다. - P1050

세속적 과학자들은 그런 식으로 인간사와 자연사를 조명했다. 그러다 때로는 그들의 활동이 유적지 약탈, 유물의 전용, 지정학적 위치 설정은물론, 심지어 학문의 이름으로 약장수 노릇을 하는 행위로까지 이어졌다. - P1052

세계 어느 곳에서 출현하든 산업화와 통상이 도시적 삶의 가속화를 촉진하고, 도시들을 결합시켜 주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새로운 ‘글로벌 도시들‘이 이동 중에 유입되었거나 재류 노동자, 상인, 기업인으로 주변 지역의 인구를 늘려 준, 다양한이주민의 물결로 강조된 세계주의cosmopolitanism를 만들어 냈다. - P1074

도시의 ‘세계성’과 ‘지방성‘은 다른 초국적 운동과 마찬가지로 대립적이기보다는 상호 구성적 관계에 있었다. 마이클 스미스Michael Smith가 "초국적 도시화transnational urbanism"라 부른 것에도 이주민, 난민, 운동가, 기업가, 단체들을가진 도시들, 다시 말해 초국적 영역을 만들고 시행한 지방화된 곳으로서의도시들을 가장 두드러지게 묘사했다. 201 빌려 온 형태, 지방적 관습, 다양한 초국적 네트워크의 결합은 이렇듯 비록 지역에 따라 실행된 방식은 달랐지만 모든 곳의 도시 생활에 영향을 주었다. 도시적 초국주의가 이 단락을 관통하는 주제의 좋은 사례가 되어 차별화된 공통성 속에서 표현방식을 찾아낸 것이었다. - P1078

그 시대의 다른 전문성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비록 보건 전문성의 흐름은인종과 문화의 서열을 주장할 때도 있었지만 보건 전문가들도 결국은 제국주의, 민족주의, 지역적 열망, 초국적 이상에 다방면으로, 그리고 또 종종 동일하게 기여한 것이 된다. 반면에 기금의 수혜자들 또한 그 방법을 무시하거나, 저희 목적에 맞게 전문성의 흐름을 바꾸거나 적합시켰고, 그에 따라 지역이받은 영향에도 큰 차이가 났다. - P1087

같은 맥락에서 19세기 말의 한one 세계주의, 초국적 결합, 그리고 과학과공학의 비정치적 네트워크에 가졌던 도취감이 설령 제1차 세계대전 뒤에 잦아들었다 해도, 상호 연결된 초국적 네트워크들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던 것은 물론 심지어 번영을 이루기까지 했다. 과학, 공학, 치료 공동체들 내에 구축된 이 ‘연성‘ 네트워크들은 케이블, 전화, 철도, 원양 정기선의 ‘경성‘ 네트워크들 못지않게 세계 전역에 확고히 걸쳐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비록 그 흐름들이 전달한 의미는 복잡하고 때로 모순적이기도 했지만, 초국적 지식 공동체가 범세계적으로 미친 범위와 중요성은 폭넓은 공통성과 지방화된 변이둘 다를 만들어 내면서 발전을 지속해 갔다. - P1089

선형적 목적론을 중심으로 편제된 그 시대의 오래된 역사는 진보라 불리는 진화적 미래를 지향하는 과학과 이성의 합리적 문화를 가진 서구 제국의범세계적 확산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녔다. 그런데 그 관점을 가진 서사 구조도 근래의 인류학자와 역사학자들의 도전에 직면했다. - P1091

대개는 정부에 고용된 채 과학적 발견에 대한홍보도 열심히 하고, 식민주의적 영토권 주장도 서슴지 않았던 19세기의 탐험가들과 달리 20세기 초의 새로운 탐험가들은 팔릴 수 있는 이야깃거리들을찾아다녔다. - P1093

오락의 흐름은 오히려 초국적이면서 때로는 - P1103

동시적으로 퍼져 나갔다. 신문, 이주, 여행, 그다음에는 영화가 예능인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것이 전 세계로 확대되어 서로 간에 모방하고 전보다 더 호화로운 작품을 만들어 내 이득을 취했다. - P1104

소설, 선정적 언론, 영화 속의 모험가들은 전 세계 일반 대중에게 좁아지는 세계의 환상을 심어 주었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은 다수의 사람에게 여행의 충동을 불러일으키고, 익숙한 환경에서 탈출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는 낯설어 보이는 요소를 인지하는 방법도 알려 주었다. 값싸고 빨라진 교통체계 또한 여행의 기대감을 높여 적어도 유럽과 미국에서는 대중 여행이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 P1117

초국적 공간 내에서 소비자 주도의 문화 특성들이 혼합된 방식은 여러 가지로 묘사될 수 있다. 하나의 문화를 잃는 동시에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동화assimilation로도 표현될 수 있고, 타 문화 요소를 선택적으로 수용해 새로운 배합 문화를 만들어 내는 혼성화hybridity로도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그것들보다는 언어학에서 쓰는 부호 전환code-switching이라는 용어를 쓰려고 한다. 그것이 초국적 대량 소비자 이미지들로 구성된 문화에서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일들을 가장 적절하게 대변해 주는 말이기 때문이다.252 다국어능통자들이 특정 시기에 생소한 언어의 낱말들을 들먹이며 상대방을 혼란시키는 전략을 쓰듯, 소비자들 또한 어느 주어진 시기에 상이한 문화적·정치적의미들을 뭉뚱그려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이는 부호 전환의 전략을 쓸 수도있는 것이다. - P1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