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부 이주와 소속감

2 세계와 지방

이주에 대한 포괄적 혹은 체계적 접근법
- 태생지에 대한 분석
영토와 국가로서의 태생지, 지역으로서의 태생지, 국지로서의 태생지를 출발 전에 이주민이 보유한 자본과 관계망의 관점에서
일자리, 소득 기회, 인종적·민족적 위계, 국가 간 권력관계에서
남녀 간 역할과 관계
아동과 어린 청소년은 별도로 접근

- 이주 경로에 대한 분석
자발적으로 이주하는 사람이 계약이나 강제 이주를 하는 사람에 비해 이주민을 수용하는 경제의 요구에 적응할 확률이 높음

- 도착지 사회에 대한 분석
국가, 지역, 지방으로 구분해서 분석 필요
식민지 지역에서는 피부색(‘인종‘)의 위계와 식민지인의 신체에 대한 식민주의자의 관점이 착취나 행위의 정도에 영향을 미침
이주민이 습득하는 새로운 생활방식

4분의 3세기에 해당하는 1870~1945년의 기간에는 국가 간 농업 정착 이주는 계속 제한적이었던 반면 국가 간 속박 노동 이주와 자유노동 이주는 활발하게 이루어져 장거리 이주도 대부분 이들이 차지했다. 전문직 이주는 소수에 그쳤다. 양적인 면에서는 도시화 및 산업화와 관련된 국내 이주가 국가간 이주를 훨씬 앞질렀다. 전 세계의 도시화된 지역에 산재한 수많은 도시에서 인구의 절반 이상이 그곳 태생이 아닌 것으로도 이를 알 수 있다. 한편 유럽 백인 남성들(여성들도 일부 포함된다.)의 식민지 지역으로의 이주는 수는 적지만 영향력은 강했다. 식민지 침투, 그리고 아열대 지역 및 열대 지역의 플랜테이션과 광산 개발에 필요한 유색인 남녀 노동자의 동원을 극대화한 힘이바로 무장까지 한 그들의 정치적 경제적 지배였기 때문이다. - P5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