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와 전기 묵가

1. 묵자에 관한 고증
2. 「경」, 「경설」, 「대취」, 「소취」 6편의 시대
3. 조직단체로서의 묵학도
4. 공리주의의 묵자 철학
5. 무엇이 인민의 큰 이익인가?
6. 겸애
7. 종교적 제재
8. 정치적 제재

오늘날에도 겸애의 정신은 곱씹어볼만한 지점이 많다.

구설(舊說)은 묵자의 성은 묵(墨), 이름은 적(翟)이라고 했다. 근래에 이르러 "고대에 이른바 묵(墨)은 성씨가 아니라 학술에 대한지칭이었다"고도 하고, 또 묵이란 고대 형벌의 하나로서 그 형을받은 무리 즉 노역하는 부류였다고도 한다. 묵자의 절용(節用), 단상(短喪 : 복상기간의 단축), 비악(非樂 : 음악 반대) 등의 견해는 모두 극단적이어서, 당시의 대부나 군자들의 생활양식(行事)과는 상반되었고, 그의 생활은 검소하여 노동자와 한가지였다. 따라서 그의 학설을 추종하는 이들을 당시에 묵자(墨者)라고 일컬은 것은 형을 받은 무리로서 노역하는 부류라는 뜻일 뿐이었다. - P133

묵자는 귀족을 반대했고 나아가 귀족이 의지하고 있는 주제(周制:주의 문물제도)를 반대했다. 따라서 그의 학설은 주제를 반대한 주장이 많은데, 주제에 대한 반동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가 주(周)를본받을 것을 제창했기 때문에, 묵자는 자신의 학설은 하(夏)를 본받는다고 주장하여 유가에 맞섰다. - P134

『묵자』내의「경(經)」[상·하] 및「경설(經說)」[상·하] 등의 편은전국시대 후기 묵학도(墨者:墨子의 추종자)의 저작이다. 전국시대후기는 유학(遊學)의 풍토가 극성하여 암송 및 학습용 죽간(책)을간단하고 암기하기 쉽도록 만들 필요가 있어서 각 학파마다 "경(經)"을 제작했다. - P135

첫째, 묵자의 비공(非攻)은 본래 모든 공격전쟁을 반대하는 것이고, 겸애의 주장은 본래 모든 나라를 다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데 당시에는 강자가 약자를 침탈하고 다수가 소수를 폭압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음에도, 묵자가 공격당하는 국가를 실제로 구제하고 보호한 경우는 다만 이 경우만 전해지니, 이 역시 아마도 묵자가 송과 특별한 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 같다. 둘째, 묵학도는 하나의 조직단체였기 때문에 송을 구제하는 거사에 조직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었다. - P136

묵자의 제자들은 벼슬에 나아가거나 물러나는 등의 행동을 할 때 모두 묵자의 지휘를 받았다. 제자가 벼슬에 나아간후, 만약 섬기는 군주로 하여금 묵가의 진언을 실행하게 하지 못할경우 스스로 사직해야 했는데, 고석자의 경우가 그것이다. 만약 제자가 벼슬에 나아가 곡학아세(曲學阿世)하면 묵자는 해당 군주에게 "주청하여" "퇴임시키도록 했는데", 승작의 경우가 그것이다. 제자들은 벼슬로 인해서 얻는 수입은 나누어 묵학도의 소용으로 제공해야 했는데, 경주자의 경우가 그것이다. - P138

상검(尙儉) 및 절용(節用)과 겸애(兼愛) 및 비공(非攻)은 비록 그당시에 원래 있던 주장이었지만, 묵자는 그것을 실행했을 뿐더러이론적 근거를 부여하여 일관된 체계를 세웠다. 이것이 묵자의 철학적 공헌이다. - P141

"공(功 : 성과)"과 "이(利 : 이익)"는 곧 묵가 철학의 근본 관념이다. - P143

"국가와 모든 인민의 이익"은 바로 묵자가 모든 가치를 평가하는 표준이다. 모든 사물은 반드시 쓸모가 있고, 주장(言論 : 학설)은 반드시 행할 수 있어야만 가치가 있게 된다. - P144

모든 사물은 반드시 국가와 모든 인민의 이익에 부합해야 비로소가치가 있다. 국가와 모든 인민의 이익은 바로 인민의 "부(富)"와
"인구증가(庶)"를 말한다. - P145

묵자는 결코 "재화의 소비"를 반대한 것이 아니고, 다만 "인민의 이익에 보탬이 되지 않는 재화의 소비"를 금해야 한다고 했을 뿐이다. - P148

일등 선비의 치상(操喪:治喪)은 필히 부축을 받아야만 일어설 수 있고 지팡이를 짚어야만 걸음을 옮길 수 있을 상태로 3년을 계속한다. 그들의 주장을 본받고 그런 도를 실천하는 일을, 왕공대인(王公大人)이 행한다면 반드시 아침 일찍 조회할 수 없을 것이고, 농부가 행한다면 반드시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농사일을 할 수 없을 것이고, 각종 공인들이 행한다면 반드시 배나 수레 또는 그릇 등을 만들 수 없을 것이고, 부녀자들이 행한다면 반드시 숙흥야매(風興夜寐) 실을 잣고 베를 짤 수는 없을 것이다. 후장(厚葬:후사이[ 한 장례)은 애써 벌은 재물을 매장하는 짓이요, 구상(久喪 : 오랜 치상)은 오래도록 생업에의 종사를 방해하는 짓이다. - P148

현재 대국이 소국을 공략하고, 대가(大家)가 소가(小家)를 침벌하며, 강자가 약자를 강탈하고, 다수가 소수를 학대하고, 교활한 자가 우직한 자를 속이고, 귀인이 천인을 업신여기고, 외적, 내란자, 도적 떼가 일제히 일어나도제압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런 상황하에서 도대체 큰 종 치고 북 두드리고 거문고 타고 피리 불며 검무나 추고 있어도, 천하의 혼란은 다스려질 수 있다는말인가? 내 생각에는 반드시 불가능할 것 같다. 따라서 묵자는 말했다.
"만백성에게 무거운 세금을 거두어들여 큰 종, 북, 거문고, 피리 등을 연주하는 행위는, 천하의 이익을 조성하고 천하의 해악을 제거하는 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까닭에 묵자는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그르다"고 했다. - P150

기쁨, 노여움, 즐거움, 슬픔, 사랑, 미움 등은 모두 정감의 측면에 속하므로, 묵자는 "여섯 가지 병폐"로 여겨 제거해야 한다고 여겼다.
반드시 스스로 "침묵할 때는 항상 사색하고, 말할 때는 항상 가르치고, 움직일 때는 항상 일하도록" 하여, 우리의 모든 일거일동이이지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있는 상태 속에 있게끔 해야 한다. 이것이 묵자의 정감배제 명문(明文)이다. - P152

겸애의 도는 타인에게 유리할 뿐더러겸애의 도를 행하는 사람 자신에게도 유리하다. 즉 "타인에게 이로울" 뿐더러 "자신에게도 이롭다." 즉 순전히 공리적인 측면에서 겸애의 필요성을 증명했다. 이것이 묵가의 겸애설이 유가가 주장한 인(仁)과 다른 까닭이다.
천하의 큰 이익은 사람들이 겸애하는 데에 있고, 천하의 큰 해악은 사람들이 서로 투쟁하는 데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전쟁을 배격해야 한다. - P157

묵자는 전쟁을 배격했고, 맹자도 "전쟁을 좋아하는 자는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묵자가 전쟁을 배격한 것은 전쟁이 이롭지 못한 때문이었고, 맹자가 전쟁을 반대한 것은 전쟁이 의롭지 못한 때문이었다. - P159

묵자는 인성(人性)을 흰 실로 여겨, 인성의 선악은 전적으로 "무엇에 물들여지느냐(所染)"에 달려 있다고 했다. 우리는 진실로 겸애의 도로써 남을 물들여 서로 이익을 도모해야지, 서로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소견이 매우 좁아서 겸애의이익과 "상호 차별"의 해악을 간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묵자는 각종 제재(制裁)>를 강조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사랑하게끔했다.
묵자는 종교적인 제재를 중시하여, 천상의 하느님(上)이 서로겸애하는 자는 상을 주고 서로 차별하여 증오하는 자는 벌을 준다고 여겼다. - P160

묵자는 이미 각종 제재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다 함께 서로 사랑하고 서로 차별하지 말도록 한 만큼, 따라서 숙명론을 부정한다(非命). 하느님과 귀신 혹은 국가로부터의 상벌(賞罰)은 개인의 행위가 자초한 결과이지 숙명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 P165

종교적 제재 외에 묵자는 정치적 제재도 강조했다. 그는 세계의 <평화와 인민의 안락을 위해서는 천상에도 하느님이 존재해야 할 뿐더러, 세상에도 또 하나의 하느님이 존재해야 한다고 여겼다. - P167

국가의 정치조직(刑政)이 존재하기 전에는 시비기준이 정해지지않았기 때문에 큰 혼란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미 국가가 수립된 이상 천자의 호령이 당연히 절대적인 시비기준이 되어야 한다. 어떠한 기준이 또 있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정치적 제재 외에 사회적제재가 다시 있을 수 없다. - P168

‘천자는 위로 하늘과 화동한다‘는 묵자의 설에 따르면, 하느님과 주권자의 의지는 완전히 일치하여 다시 충돌하지 않으니, 그가말한 천자는 군주 겸 교황이었다고 하겠다. - P171

묵자는 살아서는 고생이요, 죽어서는박장이어서, 그의 도는 너무나 각박하여 사람을 근심하고 슬프게 했고, 정말로 실천에 옮기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그러므로 필경 성인의 도라고는 할 수없을 것 같다. 인지상정과 상반되기(反天下之心) 때문에 세상 사람들은 감당하지 못한다. 비록 묵자 자신은 감내할 수 있었을지 몰라도 이 세상 사람들은 어쩌란 말인가? 세상의 인심과 동떨어진 이상, 왕도(王道]로부터도 아주 동떨어진 것이다. - P1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