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가부장들
강간, 간통 시 남녀 차별적 행태
아들이 중요시되는 것
서자 첩의 아들의 지위

서구문명은 많은 선도적 은유들과, 성별과 도덕성에 대한 정의를 성서에서 끌어온다. 서구의 문화유산 중 많은 부분을 정의하고 형성한 이선도적 상징들에 주의를 기울이기 전에 성서가 나온 문화에 대한 약간의이해가 필요하다. 또 아무리 간략하더라도, 성서에 히브리 사회 여성들의 위치에 대해 역사적으로 중요한 증거가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나는 창세기에 집중하기로 했는데, 그 이유는 창세기가 성별에 관하여 가장 의미심장하고 선도적인 상징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성서를 역사적 문서로 이용하는 것은 탄탄한 학문적 토대에 근거한것이며, 이는 지난 백년간 고대 근동지방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들과 성서적 이야기 (narrative)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성립시켰다. 창세기는 시와 산문, 일부 신화적 인물들과 민간전승 인물들을 결합시킨다. - P285
창세기는 기원전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 대략 400년 동안에 걸쳐 씌어졌다. 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은 성서 저자에 세 개의 주요 전통이 있고 그 자료중 많은 부분은 훨씬 고대의 전통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이를 성서 편집자들이 재해석하고 서사 속에 편입시켰다는 것이다. - P286
대부분의 학자들은 성서적 역사 중 가부장적 시대를 기원전 두번째천년 전반부까지로 추정한다. 기원전 약 1800년경 마리 (Mari)의 왕실 기록보존소에서 나온 문서들에 서부 셈족 부족들 간에 퍼져 있던 상황들에대한 유용한 역사적 증거가 있는데, 그것은 아브라함의 고향인 하란의실제 상황을 잘 보여준다. 그밖에도 도시 누치 (Nuzi)에서 나온 문서들은가족생활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창세기에 묘사된 관습들을 더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해주었다. - P288
종교적 발달의 관점에서 볼 때다른 중요한 사건들로는, 아합 왕과 그의 외국인 부인 예제벨의 통치기간에 바알(Baal, 고대 셈족이 섬기던 신으로 농토와 그 생산물을 주관하는 남신-옮긴이)과 아셰라(Asherah, 고대 이스라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던 여신-옮긴이)에 대한 의식이 널리 퍼짐으로써 그에 대한 반작용이 뒤따른 것을들 수 있다. 기원전 852년 정치적 쿠데타가 일어나고 400명의 바알신 사제들이 암살된 후 예언자 엘리야와 엘리샤에 의해 영감을 받아서 야훼에대한 일신숭배가 재확립되었다. 이후 예언자 호세아, 아모스 그리고 이사야의 영향 아래 종교적으로 부흥하였으며 이때 다른 신들과 다른 종교 의식들에 대한 불관용이라는 혁명적 관념을 야훼사상에 도입하였다. 황소 숭배는 불법이었으며 다산성 개념은 호세아의 은유에 의해 야훼에게 훨씬 더 굳건히 고착되었는데, 이는 언약이라는 관념을 신부 이스라엘과 야훼 사이의 결혼이라는 개념으로 전환시켰다. 영감을 받은 설교에서 예언자들은 이스라엘의 죄지음을 매춘행위와 등치시켰다. - P293
창세기에 있는 가부장들에 관한 이야기는 일부 부족들에서 모처거주석(matrilocal)이고 모계혈통적(matrilineal)인 가족조직이, 부처거주적(patrilocal)이고 부계혈통적(patrilineal)인 가족조직으로 변천되는 몇 가지 징후를 제시해 준다(레아와 라헬의 결혼 참조 한 남자가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그의 아내와 결합하는 것에 대한 창세기 2:24 의 언급도 그렇게 해석될수 있다). - P294
씨족의 지대한 중요성은 재산 소유구조에 의해 강화되었다. 정착기이후, 토지소유의 지배적 형태는 가족에 의한 소유였다. 가족의 토지는엄격한 경계선에 의해 정의되었고 대체로 조상의 묘지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세습재산의 유지와 보존 책임은 가족의 우두머리인 가부장에게있었다. - P296
메소포타미아 사회들에서 그랬듯이, 히브리 남성들은 결혼 안과 밖에서 완전한 성적 자유를 즐겼다. 성서학자 루이스 M. 엡스테인은 초기에남편은 그의 첩들과 노예여성들을 성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하였다고 말한다. "만일 노예부인들이 그의 첫째 부인이 그에게 준 경우가 아닌 그의소유라면, 남편이 그들에게 진력이 나면 그들을 가족 중 다른 사람에게 선물로 줄 수 있었다." - P297
메소포타미아 사회와 히브리 사회 여성들의 법적·사회적 지위를 비교해 보면, 법조문에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엄격한 규제와 성적 이중기준의 제도화에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결혼한 유대 여성은 메소포타미아 사회들에서 결혼한 여성에 비해 대체로 낮은 지위에 머물러 있었다. 바빌로니아 여성들은 재산을 소유하고,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법률행위를 할 수 있었으며, 남편의 유산에 대해 지분을 가질 권리가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구약성서에서 여성들의 역할을 어머니로서 크게 승격시키고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 P299
만일 우리가 성서 속의 이 이야기를 분석한다면, 우리는 심지어 딸들이 강간당하도록 내놓을 수도 있는, 딸들을 처분할 롯의 권리가 당연시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것은 설명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이중요한 역사적·사회적 조건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 P302
성서적 이야기가 여성을 위한 진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은, 이야기 속에 언급된 소수의 영웅적 여성들을 지목하고, 원문에 언급된 다섯 명의 여성선지자들의 역할에 대해 말하고, 잠언에 등장하는 여성들에 대한 긍정적진술과 아가(Song of Songs)에 있는 풍성한 에로티시즘과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찬미를 강조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역사적 방법은 그런 해석을 지지해 주지 않는다. - P307
유대 여성은 유대 공동체의 한부분이었다. 그녀는 기도할 수도 있었고 토라(유대교 율법-옮긴이)들 공부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기능적으로나 행정적으로 종교의식의일부가 아니었으며 종교적 친목집단의 구성원도 아니었다... 사원은 그것이 종교적 의례에서 아무런 역할도 갖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공공장소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여자들의 정원이 있었으며 그곳에서 여성들은 대중의 일부로 모였다." - P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