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직업으로 알려져 있는 매춘을 기록된 역사 전체에 걸쳐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와 보통사람들은 매춘을 인류사회 형성의 ‘자연스런‘ 부산물로 보이게 만들면서 이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전문가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새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씌어 있듯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바에 따르면 매춘은 문화적으로보편적인 것이 아니었다. 성적으로 관대한 사회들에서는 매춘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드물었지만, 다른 사회들에서는 대부분 억제되었다." - P223
사원매춘부는 사회가 인정한 역할이다. 그녀의 역할은 영예로운 것이다―사실상 야성의 남성을 문명화시키기 위해 선택된 사람이 바로 그녀이다. 여기서의 전제는, 섹슈얼리티는 문명화시키는 것이며, 신들을기쁘게 한다는 것이다. 매춘부는 ‘여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며, 그래서 그녀는 그녀의 직업으로 인해 다른 여성들로부터 구분하지는 않는다. 그녀는 야성의 남성을 길들이는 일종의 지혜를 가지고 있다. 그는 그녀가 인도하는 대로 문명의 도시로 따라온다. - P237
상업적 매춘은 여성들의 노예화와 계급의 형성 및 강화에서 직접적으로 유래된 것 같다. 기원전 세번째 천년에 있었던 군사적 정복은 포로여성들에 대한 성적 학대와 노예화의 원인이었다. 노예제가 제도로 확립됨에 따라, 노예 소유주들은 자신의 여자노예들을 매춘부로 대여하였고, 어떤 주인들은 상업적 매춘굴을 설립하였다. - P238
상업적 매춘의 또 다른 원천은 농민들이 빈민화하고, 기근 때 살아남기 위해 얻는 대부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짐으로써 채무노예가 생겨난데 있었다. - P239
베일을 쓴 부인, 혹은 처녀인 딸은 다른 남성의 보호 아래 있다는 것이 어떤 남성에 의해서도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그녀는 범할 수 없고, 범해서도 안 되는 사람으로 표시되었다. 반대로, 베일을 쓰지 않은 여성은 보호받지 않는 상태임이 표시되었으며, 그러므로 어떤 남성에게도 공평한 게임이었다. 이런 강압적인 시각적 차별 유형은 역사적 시기 전반에 걸쳐 ‘평판이 나쁜 여성들‘을, 분명히 알아볼 수 있는 기호로 표시된 특정 지역이나 특정한 집에 살게 하거나 관청에 등록하여 신분증명서를 소지하고 다니게하는 무수한 규제들 속에서 반복된다. 그와 비슷하게, 보호받지 않는 노예소녀를 첩과 구분하는 방식도 다양한 형태로 되풀이해서 발생하게 된다. - P247
고대국가는 가부장제의 형태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위계와 계급특전은 국가가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데근본적이었다. 따라서 감히 베일을 쓰고 거리에 나타나는 매춘부는 불온한 병사나 노예만큼이나 사회질서에 큰 위협이었다. 딸들의 처녀성과 일부일처제 아래에서 정절을 지키는 부인들은 사회질서의 중요한 특성이되었다. 그때까지는 가족이나 친척들의 가장들에게 남아 있었던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제가 MAL$40을 통해 국가에게 맡겨졌다. 기원전1250년경부터 줄곧 공공장소에서 베일을 쓰는 것에서부터 산아제한과 낙태에 대한 국가의 규제에 이르기까지 여성에 대한 성적 통제는 가부장적 권력의 본질적 특성이 되어왔다. 여성에 대한 성적 규제는 계급형성의 기초이며, 국가를 떠받치고 있는 토대 중 하나이다. - P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