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괴물.

저자인 크리스테바는 페미니즘 관점으로 대중문화를 분석해왔다고 한다.
이 책은 공포영화에 등장하는 여성괴물에 대한 이야기가 주제이다.

공포영화 리스트 중 아는 것이라곤 아주 어렸을 적 본 에일리언 빼곤 없다.
잔혹영화를 싫어하며 공포영화도 거의 보질 않는다.

과연 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리스트에 있는 영화 중 하나라도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1. 아브젝션이란? 경계와 위치, 규칙을 존중하지 않으며 정체성과 체계, 질서를 교란하는 것. 한마디로 모호함이이다.

2. 공포영화에서 묘사하는 아브젝션
- 공포영화를 관람하면서 토하거나 배설하고자 하는 욕망
- 괴물은 상징계적 질서와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 사이에 충돌을 일으키는 존재
- 한 개인이 어머니로부터 벗어나려는 최초의 시도


그런데… 비체라는 개념이 와닿지가 않는다.
읽다 보면 나아지려나.

모든 괴물들은 우리의 가장 깊은 내면에 존재하는 무의식적인 두려움들에 직접적으로 말을 겁니다. 여성괴물은 의심의여지없이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여성들의 그들 자신에 대한 두려움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여자의 재생산성, 월경혈, 그녀들의 숨겨진
질과 자궁, 그리고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놀라운 힘에 대한 두려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P10

괴물은 혐오감을 줌과 동시에 매력적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일반적으로 터부시되는 것들과 대면할 수 있도록 해주기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괴물의 본질은, 터부의 내용이 상대적이고 사회마다 다르기 때문에 문화마다 달라집니다. 괴물들은 종종 사회가 차이를 부정하고 일치를 강조하기 위해 부과한 터부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제공하면서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킹콩>은 소위 문명화된 사회의 비인간성과 야만성을 폭로합니다. - P12

나는 ‘여성괴물monstrous-feminine‘이라는 표현을 남자괴물male monste의 단순한 반대말인 ‘여자괴물remale monsite의 의미로 사용해 왔다. 여성괴물이 관객을 공포로 몰아넣는 방식은 남성괴물이 관객을 공포에 떨게하는 방식과는 매우 다르다. 이 차이점을 밝히기 위해 새로운 표현이필요하다. 처녀에서 창녀에 이르기까지, 여성성에 대한 다른 모든 정형과 마찬가지로 여성괴물 역시 그녀의 섹슈얼리티를 바탕으로 정의되었다. 여성괴물이라는 표현은 그녀의 괴물성 형성에 있어 젠더의 역할이핵심적이었음을 강조한다. - P24

남성괴물과 완전히 분리된 존재로서 여성괴물성을 정의할 수 있게 만드는 여성 자체의 그 무엇은 정확히 어떤 것인가?
윌리암스의 논의를 제외하고 위에서 논의된 거의 대부분의 논문이여성을 공포영화의 희생자로 다루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그들이 대부분 여성이 거세되었기 때문에 공포를 유발한다는 프로이트의 이론, 즉이미 여성을 희생자로 구성해 놓은 이론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입장은 여성은 원래부터 희생자라고 말하는 본질주의적 관점을대변하고 또 지지하는 가부장적 정의를 강화할 뿐이다. 나는 공포영화에서의 여성 재현을 분석하고 여성이 다수의 공포영화에서 괴물로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주장하려고 한다. 그러나 나는 단순히 여성괴물이수동적이 아니라 적극적인 형태로 재현되었다고 해서 이것이 페미니스트적‘이라거나 해방된 것이라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대중적인 공포영화에 등장하는 여성괴물은 여자의 욕망이나 여성 주체성에 대해서이야기하기 보다는 남성의 공포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재현은 확실히 남성 관객은 대체로 적극적이고 가학적인 위치에 있고 여성 관객은 언제나 수동적이고 피학적인 위치에 있다는 관점에 도전한다. 이런 특징에 대한 분석은 또한 프로이트 이론의 중심 내용을 재독해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P31

비체의 장소는 ‘의미가 붕괴되는 장소’이며 ‘내’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이다. 비체는 삶을 위협한다. 비체는 살아 있는 주체가 존재하는 장소로부터 급박하게 추방되어야만 하며 (크리스테바, 1982, 2) 육체로부터 내쫓겨서 자기the self를 위협하는 것으로부터 자기를 분리시키는상상계적 경계 반대편에 놓여야만 한다. 주체는 비체를 추방해야 하지만, 동시에 비체는 묵인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삶을 위협하는 것이곧 삶을 규정함에 일조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추방의 행위는 주체가가
상징계 안에서 적절한 위치를 차지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기 위해필요하다. - P35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모든 불결제의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오염시키는 것들은 두 개의 범주로 나누어진다. 첫째는외부로부터 주체성을 위협하는 배설이고, 다른 하나는 안으로부터 위협하는 월경이다. 오염시키는 것의 두 범주 모두 어머니와 연결되어 있다.
월경혈과의 관계는 그 자체로 분명하다. 어머니와 배설과의 관계는 배변 훈련에서 어머니가 수행하는 역할로부터 비롯된다. 이 지점에서 크리스테바는 주체가 최초로 대면하는 ‘권위‘는 아이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안에서 몸의 형태, 깨끗함과 더러움, 몸의 적절한 부분과 적절하지않은 부분 등 자신의 몸에 대해 배워가는 과정에서 대면하게 되는 어머니의 권위라고 주장한다. 내가 공포영화에서 여성괴물에 대해 분석할때 거세를 이야기하면서 상징계까지 확장해 들어갈 것이 바로 이 ‘어머니의 권위‘라는 개념이다. - P41

비체를 상징계적 구조의 토대로 전락시킴으로써정화하는 것이 대중 공포영화의 핵심적인 이데올로기적 기획이다. 공포영화는 결과적으로 비체를 제거하고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경계를 다시그리기 위해 비체(시체, 신체적 배설물, 여성괴물)와 대면하도록 한다.
현대의 불결제의로서, 공포영화는 상징계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모든것, 그 중에서도 특히 어머니와 어머니의 세계가 의미하는 모든 것을 상징계적 질서로부터 분리한다. 그런 의미에서 주목할 만한 공포는 어머니 육체의 재현과 그와의 화해를 포함한다. - P44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션에대한 이론에서 우리는 공포영화 속 여성괴물 재현을 여성의 재생산성및 어머니로서의 역할과의 관계 안에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아브젝션의 본질 자체는 매우 모호하다. 그것은혐오스러움과 동시에 매혹적이다. 어머니와 어머니의 우주를 상징계적질서로부터 분리해 내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혹은 결국은 불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게다가 괴물과 같은 어머니의 본질에 대해 깊이연구하다보면 그 어머니 역시 거세와 더불어 아이가 상징계적 질서로편입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있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