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의 의식의 거대한 비용

나오미 울프는 아름다움의 의식을 종교적 믿음으로 비유해서 설명하고 있다.
무신론자라 종교 신자의 믿음을 알 수 없지만 무엇인가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 위태롭다는 것은 대부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중 여성 화장품 광고에 대한 과장과 사기에 대해서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내가 그동안 써온 화장품의 무시무시한 개수를 생각나게 했다. 사실은 그 많은 돈을 투자해서 썼다고 해서 주름이 더 나중에 생기는 것도 아니었던 것 같고 있던 주름이 펴지지도 않을텐데 하는 생각을 했다.
자연스레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주름을 용납하지 못하는 내 자신을 생각하게 했다.

아름다움의 의식은 다양한 종교와 광신적 신흥종교의 영리한 혼합물이다. 이것은 종교치고는 대부분의 종교보다 살아 있음으로써, 변화하는 신도들의 정신적 요구에 빠르게 대응한다. 이런저런 믿음 체계를대충 꿰맞춰 놓았다가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으면 버리고, 아름다움의 신화처럼 융통성 있게 변신해 여성의 자율권이 제기하는 다양한 도전을 무산시킨다. - P148

<창세기>는 왜 여성이 자기 몸을 어떤 남성의 눈길에나 제공해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받을 필요가 있는지 설명해준다. 지금은 "아름다움"
이 여성의 몸에 신이 주지 않은 합법성을 제공해준다. 우리 문화에서남성의 몸은 《성경》에서 하느님 아버지처럼 생겼다고 한다는 이유만으로 그런 승인을 받는다. 반면 여성은 남성 권위자에게서, 하느님 아버지의 대리자인 외과 의사나 사진작가, 판사에게서 그런 승인을 사거나 얻어야 한다. 여성이 남성과 달리 유난히 육체의 완벽함을 걱정하는 이유는 <창세기>에서 남성은 모두 완벽하게 창조되었는데 여성은처음에 생명 없는 고기 조각이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두드려 펼 수있는 것, 조각되지 않은 것, 승인되지 않은 것, 다듬어지지 않은 것, 즉완벽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 P154

아름다움의 의식은 유대-기독교에서 성욕을 금기시하던 것을 사실상 식욕을 금기시하는 것으로 바꿔놓았다. 갈망하다가 유혹에 굴복해 그게 "보일 거라는두려움에 싸여 몸에서 "증거를 없애려고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식욕의 시나리오 전체가 바로 한 세대 전에 낙태와 피임이 합법화하고 혼전 성교가 오명을 벗을 때까지, 그러니까 한 세대 전까지 젊은 이혼여성 대다수가 겪은 성적 현실과 거의 다름이 없다.
교회에서는 남성이 욕정에 사로잡혀도 여성이 그것의 사악한 화신인 양 이야기했다. 마찬가지로 남성도 식욕이 있어 뚱뚱해지는데 사회는 여성의 식욕이 더 부끄러운 일로 꼽았다. - P161

정화 주기는 대개 계절을 따른다. "숨길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여성은 여름이 다가오는 것을 두려워한다. 그래서 단식을 하고 자신을채찍질해 나무랄 데 없이 완벽하게 준비되기 전에 날씨가 뜨거워져 모두 드러내야 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전전긍긍한다. 중세 기독교도들은 영혼이 아직 죄에 물들어 있을 때 죽음이 찾아올까 봐 두려워했다. 잡지들은 교회의 신부가 쓰던 문구를 감춘 여성의 몸에, 회칠한 무덤에, 예쁘게 치장해 혐오스러움을 감춘 표면에 쓴다. "겨울 패션 아래 수많은 죄를 숨기기는 쉽다." 숭배자는 속죄를 위한 고행을 통해서만 "과감하게 모두 드러내고", "노출에 대한 두려움 없이" 일광욕을 즐기는 천사가 될 수 있다. 체중 감량 주기는 부활절 주기를 닮았다. 자기감시는 고행을 낳고 고행은 환희를 낳는다. - P166

여성은 몸이 죽기 전에 아름다움이 죽는다. 중세에는 "육체는 모두 풀이다"라는 죽음에 대한 의식, 메멘토 모리가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교회와 제휴하게 했다. 교회가 자연의 수명을 넘어 "새 생명"을 줄 수 있었으니까. 여성에게 아름다움이 손상되기 쉽고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늘생각하도록 다그치는 것은 르네상스 이후 서양 남성의 사고에서는 사라진 운명론을 우리 속에 유지시킴으로써 우리가 늘 굴종하도록 만들려는 수작이다. 신이나 자연이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무작위로, 아무리애원해도) 주거나 주지 않는다고 가르치는 바람에 우리는 마법과 기도, 미신이 말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 P171

현실의 남성은 무광이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그들의 말이기 때문에 외모가 말을 가려서는 안 된다. 그러나 여성은지위에 관계없이 모두 반짝거린다. - P175

물론 여성도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살 수 있어야 하지만, 우리가 힘들게 번 돈을 쓰는 거라면 그런 사치품이 원래 약속한 것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죄책감을 느끼며 쓰는돈을 거머리처럼 빨아먹지만 말고 말이다. 아무도 이런 사기 행위를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그것의 대안이 사회에 정말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여성이 나이 드는 것을 받아들이고, 다음에는찬양하고, 결국은 즐길 것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돈을 낭비하는 것은 계산할 수 있는 피해를 주지만 이런 사기가 그것의 유산인 노화에 대한 공포를 통해 여성에게 주는 피해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 P186

표면적으로는 온당하지만 공격적인 뜻이 숨어 있는 이런 광고 문구는 여성의 무의식에 자리 잡은 불안과 공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여성이 이런 메시지를 통해 우리를 억압하려는 값비싼 믿음 체계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성유의 광고 문구가 그 제품에 관한 것이 아니라 우리 시대에 숨어 있는 악마를 인상적일 정도로 정확하게 표현한것임을 알아야 한다. - P192

높은 가격이 여성에게 성유를 사게 만든다. 맥나이트는 묻는다. "가격을 대폭 내려도 (.…)그들이 똑같은 만족을 느낄까? 이러한 측면에 사회학자와 심리학자모두 혼란을 느낀다." 그는 7.50달러짜리 제품의 재료비가 0.75달러에불과하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도표도 제시한다. 아무것도 아닌 것을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에 파니 간접비는 당연히 낮을 수밖에 없다. - P197

역사학자 크리스토퍼 래시Christopher Lasch는 《나르시시즘의 문화The Culture of Narcissism)에서 미래에 대한 절망이 어떻게 젊음에 집착하게 만드는지 이야기한다. 아름다움의 의식은 여성에게 자신의 미래를, 자신이 원하는 것을 두려워하도록 가르친다. 자기 몸과 자기 삶을 두려워하며 사는 것은 결코 사는 게 아니다. 그 결과 삶을 두려워하는 신경증이 도처에 있다. -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