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남성됨과 정치 세계

정치적 인간은 필요를 낳고 질서를 확립하고 영광된 이상을 추구하며 더 넓은 통제 구역을 찾는 방식으로 포르투나, 여성, 평화, 나태 등 이해할 수 없는 정치세계와 외양의 문제에 해당하는 기만, 유혹, 만족에 맞서 투쟁한다.
그는 장애물을 설치하거나 이들을 공격하면서 싸움을 걸고 그것들에 떨어져 소외될수록 그것들을 더 강력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힘들이 인간을 유혹하고 괴롭히며 인간을 좌절시키고 위협한다.

정치의 묘책은 자신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확보하고, 행동에 돌입하게 강제하고 싶은 이에게는 시간을 줄여주고, 혼란과 지연을 통해 꺾고 싶은 이에게는 시간을 늘려 주는 것이다. 성공적인 정치 행위자는 정치 조건의 외양적 특성을 강조하거나 훼손하기 위해 정치 공간의 차원과 씨름한다. 인간은 자기 손에 닿는 것 그리고 사물의 피상적인 외양에 반응하기 때문에, 현명한 군주는 자신의 구성원과 적에게 상황을 제시하며 이 지식을 활용한다. 군주는 "사물이 가까운 것이 아닌 멀리서 모습을 드러낼 때 두려움은 훨씬 커진다"라는 마키아벨리의 믿음을 염두에 두고 공간적 차원이 수반하는 왜곡을 활용한다.

마키아벨리가 분석하는 정치 세계는 인간이 만들어 낸 필요가 정치적 사건의 역학을 움직이는 세계이고, 이렇게 확립된 정치 세계에서 성공의 명령은 이 역학을 영구화한다.

마키아벨리의 새로운 정치 기술에는 내용이 전무하며, ‘너 자신이 되라’는 것과 정확히 반대되는 것을 가르친다. 그리고 그 교훈은 ‘네가 맡은 역이 되라’는 것이다. 목적은 천의 얼굴이 있는 인간, 결국 자신이 맡은 역에 녹아들 대가급 연기자를 창조하는 것이다.

그리스의 관점으로 볼 때 모든 권력이 부패하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 목적 조직 행동의 주요 원칙으로서, 정치를 ‘선한 삶’으로 이해하고 실천하는 데 저주와 같은 권력이 부패한다. 올바르게 구성된 공적 삶의 중심에는 권력이 아니라 정의가 놓여야 한다.

‘질서’는 인간이 지배하지 않으면 인간을 지배해 버릴 자연과 세계, 바로 그것들에 대항하는 요새다. 인간 또는 그의 국가가 통제하지 않는 것은, 그가 기술로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실제로 가진 것이 아니다. 마키아벨리는 정치 행위자들이 많이들 이렇게 외견상 평범한 지점을 무시한다고 보았고, 이 지점을 향해 지칠 줄 모르고 회귀한다.

권력은 언제나 무언가에 의존하고, 언제나 누구 또는 무언가를 통해 생기거나 만들어지고, 이런 관계를 피하거나 끊으려고 할 때마다 그 기반이 위협받는다.

마키아벨리의 ‘신군주’는 자신의 청사진이 작동하는 순간 무력하게 공동체에서 퇴장하는 루소의 입법자가 아니다. 그와는 대조적으로 신군주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 권력을 얻거나 지키거나 행사하기 위해 공국을 손에 넣는다. 이 신군주는 인민이 아니라 자신을 위해 자신의 ‘질료’에 형상을 부여하기 때문에, 인민이 이 형상을 흡수하거나 영구화하지 않는다. 문제가 되는 것은 군주의 권력이고, 군주는 그에 따라 자기 세계를 형상화한다. 그리고 그가 형상화를 부여하는 질료는 그의 권력 기반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 질료 또는 기반과 그의 관계는 반드시 도구적일 수밖에 없다.

질서는 유동성과 변화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남성적 대응으로, 인간의 근시안 강직성 자족성의 필요 등 본래 위협적이다 싶을 만큼 이해할 수 없는 세계를 만든 것들을 강화하는 반응이다.

포르투나는 마키아벨리 정치학 속 행위자가 자신의 상황이나 정치 환경에서 소외된 상태를 구체화한다. 그녀는 문화의 산물이자 이데올로기적으로 의인화된 자연으로 고안되었다.

여성에게 권력이 있어 보이는 것은 그녀가 움직이는 동기와 양식을 남성이 모두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성이 남성에게 맞서 일어날 때, 남성은 그녀가 어디에서 오고 어떤 무기로 자기를 공격하는지 모른다.

정신적 물리적 힘에 있는 권력은 정치에서 인간의 가장 위대한 무기다. 야생에서 다른 동물들에 비해 이런 권력이 부족할 때 마키아벨리의 인간은 약해지고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정치에서 인간의 취약성은 공격성으로 변하고, 그의 맹목에는 잔인성이 보충된다. 세계에서 인간의 불안한 관계는 그의 비르투에 가려진다. 자연계의 정글에서 살아가기에 부적합하던 마키아벨리의 인간은 마키아벨리의 정치라고 할 만한, 문명 속 정글을 만들어 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