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에 상호 대립적인 두 가지 경향이 나타났다.
하나는 모든 국제관계는 단일한 세계체제의 한 요소로 보아야 한다.
는 확신이었고 다른 하나는 ‘진정한 유럽 정치와 주변부를 개념적으로 분리해야 한다는 (전부터 내려오는) 주장이었다. 제국주의 열강은 세계 여러 장소— 아프리카의 모든 지역, 중국, 동남아시아, 남태평양, 심지어 1902-1903년 겨울에는 베네수엘라 —— 에서 부딪쳐쟁탈전을 벌였다. 그러나 제국의 충돌은 모두 해결될 수 있었거나 그영향이 충분히 억제될 수 있었다. 그럴 수 있었던 원인 가운데 하나는 제국주의 열강이 불문율인 ‘놀이규칙‘을 존중했기 때문이다. 이놀이규칙‘ 이란 어떤 제국주의 국가의 야심이 좌절되었을 때 그 국가가 다른 지역에서 ‘보상‘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거나 용인하는 것이었다. 제국의 충돌과 대립은 유럽 각국 사이에 항구적인 불신감을낳았지만 어떤 충돌도 유럽에 주는 영향이 직접적으로 전쟁을 촉발할 정도에 이르지는 않았다. - P1291

중요한 해외 이익의 균형은 모두가 예외 없이 쌍방의 협조하에 실현되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집단행동은 오직 한 차례뿐이었다.
1900년 여름, 8국 연합군이 의화단에게 포위된 공사관 구역을 포위망을 뚫고 구조했다. 연합군 군대 가운데서 일본과 미국 군대가 주도작용을 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참여는 이 제국의 역사에서최초의 가장 야심찬 외교행동이었다.24) 정치적 관점에서 보자면 유럽의 제국주의는 개별 제국주의의 집합에 지나지 않았다. 5대 강국이 대륙을 초월한 강국이 아니라 유럽의 강국으로서 등장했을 때 유럽의 국제체제는 5대 강국 사이에서 작동했다. 이 체제는 ‘국제정치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 P1292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제국주의 확장은 정치질서가 혼란한 지역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다. 어떤 방식으로든 간단하게 유럽과 ‘기타지역‘으로 대립시키는 것은 합당하지 못하다. 무엇보다도 유럽 내부에도 준(準)식민지 형태의 종속관계가 존재했다. 전통 외교사는 유럽의 약소국이라 불리던 나라에 대해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하고 있고강대국이 주도하는 세계에서 약소국의 행동공간에 대해서는 거의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 P1293

먼로 대통령의 "아메리카는 아메리카인에게!"란 선언은 하나의 주의가 되었고 1867넌 프랑스가 멕시코에게 패배한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그 영향이 정점에 이르렀다. 1895-96년의 베네수엘라 위기에서 미국은 전쟁의 위협을 통해 처음으로 파나마 지협 이남 지역에서 영국을 대체하고 패권적 지위를 확립했다. 1904년, 시어도어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이 먼로주의를 한층 더 강화한새로운 원칙을 선포했다. 그는 미국이 전체 남아메리카에서 "문명화를 위한 개입의 권리를 보유한다고 주장했다. 먼로의 원래 입장이여기서 뒤바뀌었다. 먼로는 라틴아메리카의 혁명을 지지하는 입장이었지만 루스벨트는 라틴아메리카의 혁명을 억압하려 했다. 먼로주의는 남아메리카 각국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반대했으나 루스벨트는 북아메리카의 군사적 우위에 의존했다. - P1299

수백 년에 걸쳐 형성된 뿌리 깊은 ‘중화세계질서‘ (Chinese world order)의 사유방식은 이른바 ‘서방의 충격’으로 하룻밤 사이에사라질 수는 없었다. 예를 들자면, 근대 초기에 외적이 침입했을 때조선은 청나라와의 전통적인 틀 안에서 대응했다. 생사존망이 걸린최후의 순간에도 조선의 실권파는 청나라 조정의 뜻을 거스르려 하지 않았다. 1905년 일본이 조선을 보호국으로 만들겠다고 선포하기직전까지도 —1895년부터 조선은 중국에 대한 조공을 중단했고, 현대 사조는 중국을 ‘문명세계의 변두리에 있는 야만국‘으로 취급하 시작했는데도 조선은 중국의 종주권 이외에 다른 대안을 상상할 수 없었다. 러일전쟁은 "국제정세의 근본적 변화"를 불러왔고 그 영향이 유럽의 중심지역에까지 미쳤다. 이 전쟁은 중화세계질서를 완벽하게종결시켰다. 중화세계질서가 종결된 뒤 40여 년 동안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자신이 주도하는 국제질서의 공간을 만들려 시도했다. 일본은 2차 대전 시기에 이런 구상에다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이란 이름을 붙였다. 이러한 연속성을 고려할 때 1차 대전은 중요한 의미를 갖지 못한다.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에서 역사의 중요 분기점은1905년과 1945년이었다. - P1306

19세기에 나타난 새로운 요소는 지휘구조의 집중화 기민화 체계화였다. 프로이센이 다시 일어서서 강대국이 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비결은 여기에 있었다. 1807-1813년에 실시한 전면적인 군사개혁이 프로이센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프로이센은 지휘관과 병사 사이의 전통적인 지시-복종 관계를 보다 이성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 최초의 국가였다. 국왕이 프로이센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고 그 아래에 군사기술과 지식 전시 동원을 담당하는 모든 참모부서가 집중 배치되었다. - P1309

19세기 중반부터 각국이 갖춘 무기의 수적인 차이가 전쟁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군비경쟁은 이제 국제관계의 영속적인 표지가 되었다. - P1311

상대가 백인이었을 때는 식민전쟁의 목적은 정복이 아니라 어떤 지역의 이탈을 막거나 이미 이탈한 지역을 탈환하는 것이었으며 인종주의적 이념은 적용되지 않았다. - P1315

‘종족’이란 요인 하나만으로는 식민전쟁의 잔혹함을 설명할 수 없다. 1812-1813년의 발칸전쟁 과정에서 백인들 사이에서 발생한 사건의 잔혹한 정도는 같은 시기의 식민전쟁에 뒤지지 않았다. 전쟁포로는 전혀 보호받지 못했고 종족의 동질화를 위해 체계적인 테러가 자행되었다. - P1316

어떤 군대든 폭력을 통해 약탈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유격대와 에릭 홉스봄이 ‘사회적 반란자’라고 명명한 집단을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로빈 후드 유형의 사회적 반란자에 대한 정의는 그들의 목표와 지지자에 의해 결정된다. ‘소규모 매복전’, 신출귀몰한 기습이 이들의 행동 방식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 P1318

19세기는 전면전 요소가 형성된 시기였으며, 1914년 이전에는 전면전의 영향이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P1321

1866년, 중국은 해외로부터 함선을 사들이기 시작하는 한편 국영 조선소를 세워 현대적인 함대를 보유하려 시도했다. 1891년까지 중국은 95척의 현대화된 함선을 취역시켰고 많은 해군장교가 외국 교관으로부터 훈련받았다. 이렇게 하여중국은 지역의 강자로서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서방의 관찰자들은 함대 건설에 역점을 둔 중국의 군사 현대화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러나 중국 해군함대는 온갖 유형의 함선을 끌어 모아 구성된 데다 4개의 독립함대로 나뉘어서 연해지역 성의 총독 관할 아래 예속되었다. 함대를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관할 성의 경계를 뛰어넘는 지휘 협조체계가 없는 상태에서 함대가 출동했다. 1896년 중국 함대는 일본에 패했고 그 뒤로 반세기 동안 중국은 해군을 갖지 못했다. - P1324

원대한 안목을 갖추었던 중국의 일부 총독들처럼 일본 정치엘리트 계층의 지도적 인물들은 메이지유신 이전에 이미 강대한 해군을 건설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1868년 이후로, 특히1880년대 중반부터 해군 건설계획은 국가의 첫 번째 중요 목표가 되었고 여기에 더하여 군비확장 경쟁의 자극도 받아 일본은 해군 증강 힘을 쏟았다. 해군 확장 ——늘 언급되는 공업화만이 아니라 은일본이 강국으로 변신하는 데 성공한 비결이었다. - P13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