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일 여자에게 많은 아이를 낳고 아무 도움 없이 혼자 양육하라고 강요한다면, 여자는 어머니로서의 일에서 헤어날 길이 없다. 그러나 여자가 자유로이 아이를 낳고, 사회가 임신 기간에 도움을 주고 어린애를 돌봐 준다면 어머니의 부담은 적어지고 노동 영역에서 쉽게 보상받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서 엥겔스Friedrich Engels(1820~1895)가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에서 여자의 역사를 되짚고 있다. 즉, 이 역사는 무엇보다도 기술의 역사에 좌우될 거라는 것이다. 토지가 씨족 전원의 공동소유였던 석기시대에는 원시적인 삽과 괭이의 초보적 성격이 농경의 가능성을 제한했다. 여자의 힘은 채소밭정도의 경작에 필요한 노동에 알맞았다. 노동의 원시적 분화에서 남녀 양성은 이미 두 계급을 형성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두 계급의 관계는 평등했다. 남자가 사냥과 고기잡이를 하는 동안 여자는 가정에 머물렀다. 가정의 임무에는 생산적인 노동, 즉 토기 제조, 직조, 원예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런 일을 통해 여자는 경제적 생활에서 커다란 역할을 했다. 구리, 주석, 청동, 철의 발견으로 쟁기의 출현과 함께 농업은 그 영역이 넓어졌다. 삼림을 개간하고 들판을 경작하기위해 집약적인 노동이 요구되었다. 사유재산이 생겨났다. 노예와 토지의 주인인 남자는 또한 여자의 소유자가 되었다. 여성의 역사적 대패‘가 바로 그것이다. 여성의 패배는 새로운 도구가 발명됨에 따라 노동 분화 속에 발생한 대혼란으로 설명된다. "집에서 여자에게 이전의 권위를 보장해 주던 그 원인, 즉 집안일에 여자를 가둬 두었던 것과같은 원인이 이제는 집안에서 남자의 지배권을 보장해 주었다. 그때부터 여자의 가내노동은 남자의 생산적인 노동 옆에서 빛을 잃었다. 후자가 전부였고 전자는 무의미한 부속물일 따름이었다." 그러자 아버지의 권리가 어머니의 권리를 대체했다. - P97

엥겔스가 시도한 종합적 이론은 우리가 앞에서 검토한 이론들보다 일보 전진한 것이기는 하나 우리를 실망시킨다. 가장 중요한 문제가 은폐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류 역사의 핵심축은 공유재산제에서 사유재산제로 이행한 것인데, 그것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 - P98

마찬가지로 사유재산제가 필연적으로 여자의 예속을 가져왔다는 것도 분명치 않다. 엥겔스는 검토도 하지않고 인간을 재산에 결부시키는 ‘이해利害’의 유대를 정의한다. 그러나 사회 제도의 근원인 ‘이해‘는 그 자체의 근원을 어디에 두고 있는가? 이처럼 엥겔스의 설명은 피상적인 상태로 남아 있고, 그가 발견한 진리는 우연적인 것처럼 보인다. 유물사관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고서는 이런 진리를 더 깊이 연구하기란 불가능하다. 유물사관은 우리가 지적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문제들은 전全 인간에 관련된 것이지,
경제적 인간이라는 추상적인측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P99

여자를 알기 위해서는 남자와 여자 안에서 오직 경제적 실체만을보는 유물사관의 경계를 넘어서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인간이 몸, 성생활, 기술을 인간존재의 총체적 전망에서 파악할 때에만 그것들이 인간을 위해 구체적으로 존재한다고 간주할 것이다. 근력, 음경, 도구의 가치는 가치의 세계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가치는 실존자가 존재를 향해 초월하는 기본적 계획에 의해 결정된다.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