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읽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과학적인 논리로 우주와 생명의 기원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야기하는 책이였다. 그 중 5장은 붉은 행성을 위한 블루스라고 제목이 붙어있었고 개인적으로 그 옆에 로웰의 화성인이라고 메모를 해놨었다. 그걸 읽고 관심을 가진 화성에 대한 이 책의 서평단이 되어 읽으며 화성을 사랑한 과학자의 시간이란 부제를 음미해보게 된다.처음엔 마치 <코스모스>에서 읽은 화성에 대해 살을 더하듯이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지는 느낌이였다. 그러다가 왜 이 책이 에세인지 감이 왔다. 그 안에 바로 사람의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 화성을 관측하려고 망원경을 만들고 지도를 제작하고 탐사선을 보내기까지 갈릴레오부터 하위원스, 로웰, 칼 세이건 그리고 수 많은 과학자의 이름이 나온다. 그런데 그 많은 사람들이 다 사연과 개성과 감정이 있는 인물로서 묘사되고 있다. 과학적인 행적만을 쫓는게 아니라 그의 생이나 성격, 그 일을 하게된 계기 등이 역사적 사실 사이 사이에 켜켜이 쌓여있었다. 여기에다 나라는 과학자는 어린 시절 아버지가 우주의 이야기가 담긴 잡지를 읽으며 고속도로 암석 단층으로 과거의 이야기를 해주는 것을 듣고 자랐다. 칼 세이건의 다큐를 시청했고 진로를 정하고 대학원과 연구원이 되어간다. 메리너호에서 보이저 까지의 화성 탐사의 시도의 시간 속에 어린 나에서 과학자로 성장해 그 일을 담당하게 되는 시간이 겹쳐서 흘러가는 것이다.탐사선을 하나 보내는 데 수십 여년이 더 걸리는 시간 터울 속에서도 저자를 포함한 이들 과학자 하나 하나의 열정은 식지않고 중첩되어 하나의 흐름으로 계속 이어져 가고 있다. 사람 한 명은 우주의 먼지처럼 찰라의 존재일지 모르지만 이 글을 쓴 이가 기억하고 적고 있는 살아있는 사람들의 연구는 과학적 성과라는 하나의 결실로 눈덩이처럼 계속 크게 굴려지고 있는 게 아닐까. ** 출판사 서평단에 선정되어 책을 제공 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그림을 자주 그렸던 어린 시절 연필 깎던 기억이 떠오른다.
어느시절의 이야기일까. 성냥이 기본이던 시절. 조부모님의 어린 시절? 멀지 않은 과거인데 이젠 없어서 떨어진 만년셔스가 아닌 누구보다 좋지 못한게 부끄러움이 되는 시대가 되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