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내가 보았던 스티븐 킹의 책이며 영화는 알게 모르게 꽤 많이 있었다. 워낙 흥행작이기도 했고, 한때 서스펜스 소설을 열심히 읽었던 시기에 그의 책이 얼마나 내가슴을 조리게 했던지..그런 그가 이번에는 창작론에 대한 글을 썼다고 하니 흥미가 돋을 수 밖에.

처음 '이력서' 라고 붙은 부분을 읽다보니 왠지 더 스티븐 킹이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이였다. 그는 자신이 어린시절부터 교장선생님으로 부터 쓰레기라고(?) 불렸던 대중 SF소설이나 영화를 너무나 좋아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글을 쓰면서 행복했다고.. 잠시 교장의 말에 좌절하기도 했었지만 결국 읽는이 누구나의 취향에 맞출 수 있는 건 아니란 사실을 알게되었다고. 그는 홀어머니 밑에서 어렵게 컸기에 그닥 부유한 생활을 영유한 것도 아니었고, 낮에는 영문학을 가르치고 오후에는 세탁소에서 알르바이트를 하면서 글을 썼다. 그 순간 그는 그 정도에서 멈춰질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얼마나 불안해했던지.

그러다가 그를 빛나게 한 건 캐리 였다. 캐리는 그가 쓰기 좋은 소재는 아니었단다. 자기가 어떻게 여고생의 심리를 알수 있겠냐고 할 정도니. 하지만, 그러면서 그는 글을 꾸준히 써야한다고 말한다. 한단어 한단락 한챕터가 모여서 한권의 소설이 되는 것이라고. 그리고는 그 글에서 군더더기를 빼는 작업을 한 후에 지인들에게 읽혀 평을 받아본다고 한다. 아마추어 작가를 설정하여 꽤 구체적으로 그가 지금의 단계로 올라온 수순을 적어놓았는데 그게 참 실제적이다. 아무도 모르는 상태에 자신을 알리고 자신의 글을 올리기 위해서 하는 어필 작업이 상당했다. 수많은 거절을 받더라도 거기서 나오는 작은 비평조차 자신을 위한 조언을 받아들여내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창작론에서 그는 사건을 따라가는 글을 쓴다고 말한다. 주제나 상징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따라가다 자신에게 생긴 일관성에 의해 그것들을 더 강조한다는 것이다. 일단 하고 싶은 말을 글로 쓰라고 권한다. 창작을 하는데에는 자격증이 필요없으니까 말이다. 그리고 진정 좋아하는다면 그것에서 즐거움을 얻으니까 말이다.

이 책은 굳이 작가를 지향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 방식을 가르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이 어떻게 글을 쓰게되었고 어떤식으로 썼는지를 회고함에 가깝다고나 할까. 그 안에 스티븐 킹의 솔직한 생각들이 버무러져 세계에서 손꼽히게 많이 읽히는 대중소설가로서의 그의 글의 맛깔스러움이 어디서 나오지를 조금은 짐작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